영주, 안동, 문경, 상주, 구미, 영천, 경주 등

국토연구원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성장 위주 도시정책 지양하고 도시기능 재조정해야


우리나라 20곳의 지방 중소도시에서 인구는 줄어드는데 빈집과 기반시설은 남아도는 ‘도시 축소 현상’이 진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장 위주 도시정책을 지양하고 도시기능을 재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7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도시정책연구센터 구형수 책임연구원 등은 최근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1995~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 등을 활용해 42개 지방 중소도시를 상대로 인구 변화 추이 등을 분석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20개 도시를 심각한 인구 감소를 겪는 ‘축소도시’로 규정했다.

1995~2005년과 2005~2015년 두 기간 연속으로 인구가 감소했거나, 두 기간 중 한 기간만 인구가 줄었으면서 최근 40년간 인구가 가장 많았던 ‘정점인구’에서 25% 이상 인구가 줄어든 도시다.

경상북도에만 영주, 안동, 문경, 상주, 구미, 영천, 경주 등 7곳이 모여 있다.

20개 도시 모두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14%인 고령화 사회 이상 단계에 들어있다.

모든 축소도시의 공가율(빈집 비율)은 전국 평균인 6.5%를 넘어섰다. 평균의 2배를 넘는 13.0%보다 공가율이 높은 곳도 4곳(태백, 삼척, 나주, 영천)에 달했다.

경주 등 7개 도시에서는 최근 10년(2005~2015년)간 빈집 수가 연평균 6.0% 이상씩 급격히 증가했다.

이들 축소도시는 2015년 기준으로 재정자립도가 30%를 넘지 못하는 상황이다.

안동, 상주 등 5곳은 재정자립도가 15%에도 못 미쳤다.

연구팀이 권역별로 최근 10년간 인구변화율이 낮은 곳인 경북 상주와 강원 삼척, 전국 김제, 충남 보령의 주민 610명을 상대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73.0%가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체감한다고 밝혔다.

인구감소 체감에 대한 질문에 33.9%는 ‘도시를 떠나는 사람이 많을 때’, 33.3%는 ‘빈집이 많아질 때’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66.3%는 인구감소의 원인으로 '일자리 부족'을 꼽았다.

축소도시에서 앞으로 나타날 가장 심각한 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48.7%는 '안정된 소득원과 일자리의 부족'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지방 중소도시는 지속해서 인구가 줄고 빈집과 유휴시설이 점차 확산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는 여전히 낙관적인 전망에 기대 성장 위주의 도시계획을 고집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축소된 도시규모에 맞춰 환경을 재조정하는 등 이제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