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도 많고 공무원도 많은데 자리만 적어
기술직들은 3급 문 조차도 두드릴 수 없어


경상북도교육청의 인사정책이 대구광역시교육청과 3·4급을 포함한 고위직에서 엄청난 정원 차이를 보여 일부 관계 공무원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어 교육부 차원의 대책이 요구된다.

공무원 사기 진작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진급 문제가 같은 일을 하면서도 경북도교육청이 대구교육청에 비해 2배 이상이나 문이 좁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을 비교했을 때 일반직을 기준으로 3급은 대구가 7개, 경북이 5개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대구청 총원 2천400명, 경북청 총원 4천894명이라는 소속 지방공무원의 수를 계산하게 되면 대구는 3급이 0.3%인 반면 경북은 0.1%밖에 안 돼 3배라는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4급의 경우도 인원은 21명으로 동일하지만 비율로 봤을 때 대구는 0.9%인 반면 경북은 0.4%로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그 이하 직급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5급도 대구가 120명으로 5% 경북은 154명으로 3.1%로 대구청이 역시 1.9%나 더 높았다.

실무자 직급인 6급도 대구가 508명 21.2%, 경북이 933명 19.1%로 여전히 대구청이 더 높다. 겨우 7급에 와서야 대구가 791명 33%, 경북이 1천625명 33.2%로 그 수치의 폭이 좁아지기 시작한다.

8급 이하부터 대구가 948명으로 39.5%, 경북 2천150명 43.9%로 상황이 역전되는 데 이를 바탕으로 결국 대구청의 진급의 문이 경북청보다 훨씬 넓게 열려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구조화하면 경북청은 상위 직급은 적고 하위 직급이 많은 피라미드형 구조라면 대구청은 경북청 대비 상급직은 보다 많고 중·하위 직급은 보다 적은 역피라미드형 구조로 이뤄진 것이다.

장학사·장학관들로 이뤄진 특정직 또한 이 구조를 피해갈 수는 없었다. 대구청의 경우 총 특정직이 199명으로 4급 이상이 29명으로 14.6%, 5급 상당이 28명으로 14%, 이하 장학사와 연구사가 142명으로 71.4%다.

반면에 경북청의 특정직은 393명인데 4급 이상이 48명 9.7%, 5급 상당이 37명 9.4%로, 이하 장학사와 연구사는 308명으로 78.4%로 구성돼 일반직과 같이 진급에 애로사항을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경북청은 이렇게 적은 의자를 두고 다툼을 하니 일반직 내에서도 행정직과 기술직 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알력다툼도 생기고 있다. 대구청이 3급 부이사관 자리에도 기술직을 진급시킨 반면 경북청은 행정직만 3급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행정직을 준비하고 있는 박모씨(28)는 “결국 공무원으로서 진급은 핵심 중의 핵심인 것이 당연하다”며 “이럴 줄 알았으면 경북교육청보다는 대구교육청으로 갈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 현명한 생각”이라고 말했다.

경북교육청 관계자는 “집도 멀고 아직 인프라도 구축되지 않은 신청사에서 고생하는 공무원들의 아픔을 안다”며 “따라서 3·4급 고위직을 당연히 늘이고 싶지만 교육부에서 승인해주지 않으면 도교육청 자체로는 방법이 없다”고 전했다.

한편, 교육부에서는 최근 1년 동안 17개 시도교육청 어느 한곳도 3급직을 승인해준 바 없어 공무원 사기를 진작시켜줄 만한 혁신적인 인사가 필요하다고 교육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