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적십자사가 10월 4일 추석을 계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논의하기 위한 적십자회담 및 남북군사회담 개최를 북한에 공식 제의함으로써 성사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적십자사의 이번 제안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독일에서 밝힌 이른바 '베를린 구상'의 연장선상이어서 북측의 전향적인 태도가 기대된다.
우선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 모두의 염원이란 점에서 정치적인 색채가 배제되길 바란다.
남북 모두 많은 고령의 이산가족들이 가족 상봉을 고대하고 있으며, 이분들이 살아 계신 동안에 가족을 만날 수 있게 하는 것은 어떤 정치적 고려보다 우선돼야 한다.
우리 정부의 제안대로 10월 4일에 이산가족 행사가 열린다면 지난 2015년 10월 이후 2년 만이다.
그러나 북한이 적십자회담에 응할지는 불투명하다.
북한은 지난해 4월 중국 내 북한식당에서 일하다 탈북한 여종업원 12명과, 탈북한 뒤 남한에 정착했지만 북송을 요구하고 있는 김련희씨의 송환 없이는 이산가족 상봉은 없다는 주장을 반복적으로 펴고 있다.
정부는 탈북 여종업원들은 자유의사로 귀순했고, 우리 국민인 김련희 씨를 북으로 돌려보낼 법적인 근거도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정부가 북한에 군사당국회담과 적십자회담을 동시에 제안함으로써 북한의 호응 여부에 따라 문재인 정부 초반 남북관계의 흐름이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우리의 회담 제안에 응한다면 2015년 12월 남북 차관급 회담 이후 1년 7개월여만의 남북 당국회담이 성사되는 것이다.
우선 군사회담 의제인 ‘상호 적대행위 중지’는 북한도 대북 확성기 방송이나 대북 전단살포 등을 이른바 ‘체제 존엄’과 관련된 문제로 여겨 관심도가 높다.
북한은 지난해 2월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되자 남북 간 통신채널을 단절했으면서도 그해 5월 군 통신선을 이용해 우리 측에 군사회담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북측이 8월로 예정된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훈련 중단을 우선 요구하면서 역제안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북한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우리정부의 이번 제안은 그동안 대치국면으로만 치닫던 남북관계를 풀 열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남북 양측 모두 인내심을 갖고 노력해야 할 부분이다.
북한의 반응을 지켜봐야겠지만 우리정부도 북의 반응에 대해 일희일비하지 않고 끈기있게 우리 제안들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