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폭염이 이번에는 경북동해안 양식장을 덮쳤다.

폭염으로 바닷물 수온이 상승하면서 경북 동해안에서 양식어류 13만3천마리가 폐사했다.

포항에서는 지난 4일부터 남구 구룡포읍, 호미곶면, 장기면 양식장 13곳과 북구 송라면 양식장 1곳에서 강도다리, 넙치 12만7천700마리(9천500만원 상당)가 폐사했다.

바닷물 온도가 29도까지 치솟은 7일에는 하루 동안 무려 8만여마리가 떼죽음을 당했다.
울진군 근남면 진복리 육상양식장(4천100마리)과 영덕군 영덕읍, 남정면 육상양식장 3곳(2천400마리)에서도 어류 폐사가 발생했다.

경북 동해안에는 양식장 120곳에서 강도다리, 전복 등 9개 어종 2천100만여 마리를 키우고 있다. 포항 양식장 58곳에서는 1천73만 마리를 키운다.

문제는 고수온 현상이 한달이상 지속될 것으로 보여 피해가 더욱 확산할 조짐이라는 것이다.
이미 호미곶에서 울진 앞바다까지 고수온 주의보가 내린 상태다.
고수온 현상은 한 달가량 계속될 것이란 것이 관계당국의 설명이다.
지난해 경우 8월 11일~31일 사이 28~31도의 고수온으로 포항시 등 3개 시군의 33어가에 81만2000마리의 어류가 폐사해 8억1500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올해는 예년 대비 바닷물 수온이 2~4도 높은 상태여서 앞으로 피해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매년 되풀이되고 있는 고수온에 따른 어류 폐사에 대한 당국의 대응은 여전히 사후약방문식이다.
수온 모니터링 등을 통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사전 대책을 마련하는데는 인색했다.

예년보다 빠른 폭염에 대비한 다양한 예방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각 어가의 책임으로만 돌리고 있는 듯 하다는 것이 피해어민들의 주장이다.

뒤늦게 포항시는 지난 4일부터 고수온 대책 상황실을 설치, 국립수산과학원 등 관련기관과 함께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시는 현재 수온 상승에 따라 양식장의 먹이공급을 중단하고 액화산소공급장치와 순환펌프를 최대한 가동, 어류의 스트레스를 최대한 줄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경북도 또한 시·군과 합동으로 비상대책반을 편성 운영하는 등 비상체계로 전환하고 전 행정력을 동원해 피해최소화에 대처하고 있다.


경북도와 해당 시·군은 이번 같은 피해가 앞으로는 매년 반복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근본적 해결을 위한 양식수산물 재해보험, 지역별 맞춤형 사육어종 개발, 사전 출하 지도, 저층 해수 펌프시설 지원 등 다각적인 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