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정욱 건강증진의원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강박증 혹은 강박장애 환자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놀랍게도 20~30대라고 한다. 취업 등 미래에 대한 불안에 더해 직장과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 강박장애란 정확히 무엇일까?또 강박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강박이란 강한 압박의 준말이라고 할 수 있다. 무언가에 압도돼 어찌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불안에 압도되도록 만드는 생각을 강박사고, 불안을 없애기 위하여 하는 특정한 행동을 강박행동이라고 한다.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은 강박장애로 진단하기 위한 주요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은 뗄 수 없는 짝과 같다. 강박사고가 일으킨 불안을 강박행동이 감소시켜 주기 때문이다, 보통 강박사고는 개인이 의도적으로 꾸며낸 것이 아니라 의지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머릿속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생각이다. 이 때문에 강박사고는 이질적으로 느껴져서 어떻게든 이 생각과 불안에서 벗어나고 싶어진다. 이를 위해 다양한 행동을 시도하게 되는데 행동의 결과로 불안이 사라지게 되면 나중에는 그 행동을 똑같이 반복하게 된다. 이때 정해진 규칙이나 틀이 명확해 마치 종교의식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가장 대표적인 강박장애는 결벽증이다. 결벽증은 오염강박이라고도 하는데 자신이 병균에 오염됐고 결국 병균 때문에 자신이 죽게 될 것이라는 생각에 휩싸여 순간 불안해지기 시작한다. 이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손이나 몸을 씻거나 빨래를 하면서 불안을 감소시키려고 한다. 결벽증인 사람들이 손이나 몸을 씻는 행동은 일반인들과 다르다. 되는 대로 씻는 것이 아니라 순서와 횟수가 정해져 있으며, 피부가 손상될 정도로 과도하게 씻는다.

어떻게 보면 강박장애 환자들이 완벽을 추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강박장애는 자신을 불안하게 만드는 그 생각에 대해서만 반응한다는 점에서 완벽을 추구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반대로 어떤 특정 생각에만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전반에서 지나치게 완벽을 추구해서, 결국 일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성격적 문제를 강박성 성격장애라고 한다. 강박성 성격장애는 엄밀히 따지자면 강박장애와는 구별되는 정신장애다.

강박장애는 그 종류나 원인은 다양하지만 즉각적으로는 불안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자신을 불안하게 만드는 그 생각, 그리고 불안을 없애기 위해 반복적으로 하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약물치료로 접근할 경우는 항불안제를 처방하는 것이 정석이다. 강박장애로 인해 우울하다면 항우울제까지 처방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항불안제의 효과는 일시적이다. 불안할 때 약을 먹으면 일시적으로 불안에 둔감해지지만 강박장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불안하게 만드는 생각 자체를 없앨 수 없기 때문에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불안해지게 된다.

그래서 심리학자들은 불안에 대한 마음의 내성을 키우도록 노출 훈련을 실시한다. 노출 훈련이란 자신을 불안하게 하는 대상이나 상황에 의도적으로 노출시켜 불안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때 불안을 없애기 위해 특정 행동을 하고 싶겠지만, 그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반응 제지법을 사용한다. 행동을 못하게 하니 당장은 불안해서 미쳐버릴 것 같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실제로 자신이 걱정하는 큰일. 일례로 오염강박의 경우 병에 걸려서 죽게 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불안은 점점 감소하게 된다. 이런 노출과 반응 제지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결국 불안에 대한 내성이 생겨 나중에는 강박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불안을 견뎌낼 수 있게 된다.

강박장애가 아주 심하지 않다면 혼자서도 해볼 수 있다. 노출을 통해 의도적으로 불안한 상황을 직면하고 강박행동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경험을 반복하다보면 강박장애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강박장애가 아주 심하거나 오래됐다면 반드시 전문가를 찾아가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스스로 강박장애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이는 자신이 어떤 이유로든지 불안에 취약해진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모호함과 불안을 견디는 힘을 키우는 것이 강박장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