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표면 제어기술을 통해 다양한 전자소자에 직접 활용 가능

▲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수성 반도체 잉크는 고품질의 박막 제조가 가능한 까닭에 P형, N형 트랜지스터 뿐만 아니라, PN 다이오드, 상보적 인버터, 광다이오드 등 다양한 구조의 전자소자에 응용 가능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대성 교수(대구경북과학기술원·사진) 연구팀이 비누를 구성하는 성분인 계면활성제를 이용, 환경 친화적인 수성 반도체 잉크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 및 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지난 8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고분자 반도체는 유연성이 좋고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용액공정을 통해 저비용으로 넓은 면적에 공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wearable) 스마트 기기 등의 차세대 재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공정과정에서 독성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독성이 있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반도체 제조공정을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반도체 표면 제어 기술을 개발, 이를 통해 수성 반도체 잉크를 제작했다.

정대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소자의 핵심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유기 반도체의 제작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연구 성과이다”며 “간단한 화학적 개질을 통해 다양한 반도체 소재를 물에 분산시킬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트랜지스터부터 태양전지와 복합회로, 이미지 센서 등 다양한 광전자 소자 제작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