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진으로 발생한 ‘액상화’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정부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국내에서 처음 관측된 이 현상에 대한 포항시민들의 우려는 여전하다.

우려할만한 수준이 아니란 조사결과만으로 이번 사태를 종결해서는 안될 것이다.
포항시민, 나아가 국민들이 여전히 걱정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보다 철저한 조사를 장기적으로 진행해 근본적인 원인규명을 해야한다.

액상화(Liquefaction)란 지진으로 지하수와 토양 모래층이 뒤섞이며 지반이 늪처럼 물렁물렁해지는 현상이다. 액상화가 일어나면 지반이 약해져 건물 붕괴 등 피해가 훨씬 커진다.

이 말은 1950년대 일본 학자가 처음 사용했다.

 1964년 일본 니가타현 지진(규모 7.5) 때 액상화로 기초지반이 붕괴하면서 아파트가 통째로 쓰러지고 맨홀 등 땅속 구조물이 솟아오르기도 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도 액상화로 인한 피해가 일어났다는 학계 조사 결과가 있었다. 

지난해 9월 12일 경주 지진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규모 6.0 이상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국내 학계도 액상화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후 1년 만에 포항 지진을 통해 액상화가 실제로 나타난 것이다.    
지난달 15일 포항 지진 이후 진앙 주변 땅에서 흙탕물이 솟구친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액상화로 추정되는 신고가 17건 잇따르자 정부는 조사에 착수했다.

행정안전부는 그간의 조사 결과 지난 1일 중간조사 결과 브리핑을 열고 포항 지역 10곳을 시추조사해 이 가운데 5곳을 분석한 결과 망천리 논 1곳에서 액상화 지수가 ‘높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내용과 전문가 자문 결과를 종합하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란 것이 행안부의 설명이다.
특히 흥해 대성아파트 등 3건은 단순 침하나 물고임으로 액상화와 관련이 없는 현상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포항 지진 이후 국내 연구진들은 포항의 많은 건물이 액상화 탓에 피해를 봤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그러나 주택가에선 땅이 아스팔트로 덮여 있어 지반 침하 현상 등이 일어나도 바로 확인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정부의 중간결과 보고에도 불구하고 액사화에 대한 주민들의 걱정과 우려는 가시지않고 있다.
정부는 포항 지역의 개발 사업을 통해 기존에 마련된 3천여 공의 시추 정보를 활용해 진앙지 주변 지역의 액상화 가능성을 추가 분석할 방침이라고 했다.

당장의 피해와 직결되지는 않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적은 규모의 피해에도 액상화가 건물 붕괴 등 큰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사실은 현재로서도 확인되고 있는만큼 정부의 철저한 원인 규명과 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