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메랑 된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사업(중)

▲ 경북도청 신도시에 입주한 상가 건물. 편의점 및 일부만 입주해 있어 썰렁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경북도 신도시 활성화, 부동산 거품이 걸림돌
대형상가 입점률 12.6%. 미입주 공동주택 2천379가구
대형상가 813개 점포 건축 중, 상가대란 심각
을씨년스런 황량한 도시
부동산 거품으로 상권 형성 안 돼

<글싣는 순서>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조성사업 폭리 논란(상)
부메랑 된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사업(중)
경북개발공사 돈 벌어 지방수익보다 국가수익만 올려줘(하)

경북개발공사의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사업 대박은 신도시 활성화에 역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토지분양으로 막대한 수익을 챙겼지만 부동산 거품이라는 부작용을 동반했다.

대형상가는 입주율(10월 기준)이 12.6%로 극히 저조해 상가 대란이 현실화되고 있다. 여기에다 현재 건축 중인 813개 점포까지 완료되면 그야말로 심각하다. 경북도청과 경북교육청 등이 홀로 이전하고 주변이 정주여건이 열악해 신도청신도시 시가지는 을씨년스러울 정도로 황량하다.

경북도는 도청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마련에는 한계가 있다. 저조한 아파트와 오피스텔, 상가 분양률과 입주율을 해소할 방안은 사실상 없는 상태다.

부동산 거품이 꺼지고 실수요자가 투자하는 시장상황을 기다려야 한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부동산 부작용이 그 만큼 크다. 올해 10월말 현재 신도시로 이주한 주민등록상 세대수와 인구는 2천652세대에 6천741명에 그치고 있다.

아파트 6천551세대와 오피스텔 2천27세대 등 모두 8천578가구가 분양됐지만 미입주 세대가 2천379세에 달한다. 분양은 받았지만 도시여건이 형성되지 않아 입주를 기피하고 있는 것이다.

아파트의 경우 7천749세대가 건립됐거나 건립 중에 있지만 미분양이 521세대나 된다. 오피스텔은 더 심각하다. 2천132세대가 건립됐지만 1천124세대가 미분양이다. 분양률이 47.3%에 불과한 것이다.

상가입점 역시 94동 997개 점포가 건립됐지만 입점은 24.9%인 248개 점포 뿐이다. 이 중 대형점포는 729점포에 92개 점포가 입점해 입점률이 12.6%로 극히 저조하다.

점포수가 55개인 한국빌딩과 셋방에비뉴타워(52), 제일프라자(43), 어바스위트(27) 등은 입점이 전무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17개 대형상가 818개 점포가 건축 중에 있어 자칫 신도시가 유령도시로 전락할 위기에 놓이게 됐다.

경북개발공사 관계자는 “점포 증가율이 10월말 현재 전월에 비해 55.3%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 입점수가 11.2% 증가에 그치고 있는 것은 투자자들이 관망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상가와 아파트 입주가 저조하자 아파트 가격은 분양 당시에 최고 3천만원까지 상승했던 프리미엄이 오히려 마이너스 프리미엄으로 전락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18년까지 앞으로 경북경찰청 등 기관과 단체가 이주하더라도 상권 등 정주여건이 형성되지 않으면 계획인구 2만5천명 목표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신도시는 공무원들조차 입주를 기피하고 있다.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는 것은 높은 임대보증금과 비싼 임대료 등도 문제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부동산 거품으로 인해 상권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신도시의 땅값이 분양예정가의 3배 이상까지 치솟고 있는 거품현상이 계속되고 있어 상가형성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상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33㎡ 기준 상가 임대료가 보증금 3천만원에 월세 170~200만원으로 너무 비싼데다 수요도 많지 않아 당장 상가가 활성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실제 거주는 현재 4천396세대에 1만420명에 이른데다 유관단체 107개 이주가 완료되면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어 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자족도시 기능 향상, 생태도시 디자인, 역사문화도시 인프라 확대, 특화발전전략 마련 등에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