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화재에 대한 지역환수운동이 본격화하고 있다.
안동 하회탈·병산탈이 54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해외 문화재 환수운동’과 함께 외지에 보관·전시되고 있는 지역의 문화재도 되돌려받아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는 것이다.

대구경북은 국가지정등록문화재의 20%가 출토된 문화재의 고장이다.
그러나 상당수 국보급 문화재들이 국립중앙박물관이나 민간 박물관 등에 보관돼 있다.
청동기·철기시대 대표 유물인 대구 비산동 ‘조형안테나식동검’(와룡산 부근 고분 출토)은 호암미술관에 있고, 유일하게 제작연대가 밝혀진 조선시대 측우대(경상감영공원 설치, 보물 제842호)는 서울기상청에 소장돼 있다.

경북지역 기초단체로는 상주시가 처음으로 지역 문화재 환수운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2014년 ‘문화재환수추진위’를 구성해 문화재환수운동을 본격화했다.

경주, 안동에서도 유림, 시민·학술단체가 발족되면서 ‘문화재 환수운동’이 시민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역문화재 환수운동은 지방분권의 시작이다.
지방 분권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이 확산되면서 문화재 분야에서도 지방 분권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환수운동은 이미 효과를 내고 있기도 하다.
상주시는 2016년 ‘황희 정승 영정’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돌려 받아 상주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경주시민들의 숙원인 청와대 경내의 ‘미남석불’(석불좌상) 현지 반환을 검토해보라는 지시를 내린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지방선거를 앞둔 새해의 화두가 지방분권인 만큼 지역문화재에 대한 환수 목소리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다만, 지역에도 첨단시설을 갖춘 박물관 건립과 함께 전문인력을 배치하는 등 중앙정부의 부정적인 인식을 불식할 수 있는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일제강점기 때 발굴된 수많은 지역 유물들이 지방에서는 관리, 보존이 어렵다는 이유로 대부분 서울로 보내졌기 때문이다.

작년 12월 안동민속박물관 수장고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한 안동 하회탈과 병산탈도 이같은 기반시설을 미리 갖췄기 때문에 돌아오게 됐다.

그동안 안동시는 하회탈을 맞기 위해 목재문화재 보관전용 수장고 내 항습시설과 화재예방 설비 등을 점검하고 국보가 격납될 밀폐장을 설치하는 등 수장보관시설의 최적화를 완료했다.

각 지자체는 환수대상 목록을 작성하고, 법 절차나 소장자의 협조 여부 등을 따져 우선순위를 정한 후 단계적으로 문화재 환수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우리 문화재 정책은 ‘반분권적’이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문화재반환이 지방분권의 선행조건이 돼야 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