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의 분무액에 포함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하여 사람들이 사망하거나 폐질환에 걸려 대구경북에서만 502명이 피해 신고를 했고, 이 가운데 109명은 이미 숨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구환경운동연합은 국가 차원에서 대대적인 피해자 찾기에 나서는 것이 진상 규명의 핵심이라고 촉구했다.

가습기 살균제의 살균제 물질의 성분은 피부독성이 다른 살균제에 비해 5~10분의 1 정도에 불과해서 가습기 살균제 뿐 아니라, 샴푸, 물티슈 등 여러 가지 제품에 이용된다. 하지만 이들 성분이 호흡기로 흡입될 때 발생하는 독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자가 발생할 때까지 아무런 제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는 공산품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식품위생법이나 약사법이 아닌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일반적인 안전기준 만이 적용되어 피해를 예방하지 못했다.

지난 15일 환경보건시민센터와 대구환경운동연합이 발표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자 현황'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7년간 우리나라 전체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자는 5천955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22%(1천292명)에 달했고 생존자는 78%(4천663명)였다.

특히 대구경북에서만 502명이 피해 신고를 했고, 이 중 21%에 달하는 109명이 이미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경우 피해 신고를 한 274명 중 16%인 45명이 숨졌다. 이는 2016년 6월 조사 당시 집계된 사망자 20명에 비해 1년여 만에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경기`서울`인천`부산에 이어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많았다.

경북지역은 총 228명이 피해 신고를 한 것으로 나타나 전국에서 여덟 번째로 많았고, 이 가운데 28%에 달하는 64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전남(33%)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았으며, 지난 2016년 조사 당시(13명)보다 5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이처럼 2016년 이후 피해 신고자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당시 가습기 살균제가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사용자들이 질병과 제품 사용의 관련성을 인지해 신고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설명했다.

가습기 살균제가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오랜 기간 판매돼 온 탓에 질병과 제품의 연관관계를 모르던 사람들이 이 사실을 깨닫고 신고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지난해 환경부가 한국환경독성보건학회에 의뢰한 연구용역 결과 가습기 살균제 사용자는 350만~500만 명에 달하고, 이 중 10%에 불과한 30만~50만 명이 병원 치료를 받은 피해자로 추산됐다.

정부는 가습기 살균제 사고에 대한 해결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고,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하하도록 안전성이 확인된 물질만 사용토록 하는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