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상임감사 2명 중 1명꼴로 정치권 출신의 소위 '낙하산' 인사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매번 정권마다 보은인사의 집합소란 비판을 받고 있다.
전·현 정부의 청와대, 정당, 대선캠프 출신 등의 인사가 낙하산으로 임명되고 있는 것 또한 청산해야 할 적폐란 시각이 많다.
전문성이 없는 상임감사가 최고경영자(CEO)를 견제하고 사내 부패·비리 감시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수 없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며, 나아가 정치권과의 유착에 의한 비리 발생 개연성도 충분한 것이다.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 '알리오' 등에 따르면 공공기관 330곳 중 99곳이 상임감사를 두고 있으며 공석 19곳을 제외한 80명 중 '절반 이상'이 정치권 출신으로 분류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선임된 인사가 61명이며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선임된 인사는 19명이다.

정치권 출신은 박근혜 정부 선임 인사가 29명, 문재인 정부 선임 인사가 12명이다.

주로 청와대 근무 경력을 바탕으로 낙하산으로 내려가거나 각 정당에서 보좌관, 당직자로 일하다가 공공기관 감사 자리를 차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선이나 총선에서 일정 역할을 한 이후 전리품 나누듯 공공기관 상임감사 자리를 배분하는 형식이다.


특히 자유한국당 출신들은 전 정부에서 임명된 인사들이고 더불어민주당 출신들은 현 정부에서 선임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문재인 정부에서도 현재 공석인 공공기관 상임감사 자리에 낙하산 인사가 이뤄질지 우려스럽다.

정치권 낙하산 인사가 적지 않다 보니 전문성은 뒷전이다.

공공기관 CEO를 견제하고 사내 부패·비리를 예방하는 역할보다는 오히려 대외업무 기능을 맡는 역할이 대부분이어서 자칫 정경유착 등 비리 발생 개연성도 높은 게 사실이다.

특히 상임감사는 사무실이 있고 연봉이 수억원에 달하기도 해 정치권에서도 자리다툼이 치열하다. 주로 변호사나 회계사, 세무사, 교수 등이 맡는 비상임감사에 비해 정치권이나 관료 출신의 '파워 게임'이 벌어지는 이유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현재 상임감사 자리 중 19석은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한국투자공사, 한국조폐공사, 국방과학연구소, 국민건강보험공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이다.
정치권 낙하산 인사가 주를 이뤘던 과거 사례를 본다면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현정부 인사들이 대거 이 자리를 꿰어 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재인 정부만큼은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란 구태를 더 이상 반복하지 않아야 한다. 과거 정부의 구태를 답습한다면 지금 추진하고 있는 개혁작업이 헛구호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