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어서 금융비용조차 충당 못해

경주, 울진 등 지역경제 악영향 우려
1분기 영업이익 1847억원 금융비용 1933억원
한수원 매출 감소액 6839억원 급감 연간기준 3조원 감소 전망

탈원전의 역기능이 현실화 되면서 한국수력원자력 경영위기에 봉착하자 지역사회가 술렁이는 등 파장이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3면

한수원의 재정지원이 상당한 경주와 울진 등 경북지역은 향후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하며 대책에 부심하고 있다. 초우량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어쩌다 이 지경이 됐나하며 허탈해 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실적결과 한수원은 벌어서 금융비용도 충당하지 못하면서 적자위기 기업으로 추락했다. 한수원은 비상경영체계에 돌입했다.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결제 보고서에 따르면 한수원은 올들어 1분기 경영실적결과 184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이자비용으로 1277억원을 지불했다. 벌어서 이자갚기 급급한 상황으로 전락했다.

파생상품, 외화환산손실 등 금융비용 1933억원을 포함하면 벌어서 금융비용도 충당하지 못하는 처지가 됐다. 분기 순이익은 652억원으로 겨우 턱걸이 했지만 올해 말이면 적자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의 영업이익 대비 금융비용 비율은 2016년 12.5%에서 지난해 33.5%로 증가한데 이어 올들어서는 금융비용 충당도 못하고 있다. 한수원은 2016년 3조8472억원을 기록했지만 탈 원전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지난해는 1조3972억원으로 반 토막 이하로 급감했다.

원전가동율이 50%대로 떨어지면서 수익성도 크게 악화된 것이다.

올들어 1분기 매출실적을 보면 1983억원의 매출에 매출원가는 1757억원이며, 매출총이익은 2263억원에 그쳤다. 매출총이익율은 11.4%다. 전년도 동기의 29.3%에 비해 급감했다. 매출원가는 전년도 1898만원과 비슷한 규모지만 매출은 6839억원이 떨어졌다.

한수원은 적자경영을 탈피하기 위해 긴축경영에 돌입한 상태다.

초우량기업의 사상 최대 위기는 경주와 울진 등 경북지역 발전에도 악영향을 준다. 순이익 감소에 따른 지방세 감소와 각종 지원 사업에도 파급이 미쳐 지역경제 위축이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한수원이 긴축경영에 들어갔지만 수십조원 규모의 차입금과 막대한 규모의 원전사후처리 복구비, 준 저준위 폐기물 처리비, 사후처리 복구비, 정화비용 등 천문학적 규모의 충당금 적립 등을 감안 할 경우 적자전환은 불가피하다”고 진단하고 “국가적 차원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수원의 이익구조는 원전을 가동해 만들어낸 전기를 한국전력에 판매하는 것으로 ‘원전가동률’과 직결된다. 원전을 가동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산할수록 매출, 영업이익 등이 높아지는 구조다. 한수원의 1분기 현재 원전가동율은 56.4%다. 24기 가운데 10기는 중단했거나 비정상 가동을 하고 있다.

2016년 9.12지진으로 인한 안전점검으로 원전 가동이 일시 중단됐던 시기에도 원전가동률은 79.9%였다. 2014년과 2015년에는 각각 85.4%와 85.9%를 기록했다.

지난해 분기별 원전가동률은 1분기 74.2%, 2분기 75.2%, 3분기 70.5%로 70%대를 상회하다 4분기 65.2%로 떨어진데 이어 또다시 올들어 급감했다.

원전가동률이 떨어지는 것과 비례해 매출과 영업이익도 크게 떨어졌다.

2016년 연매출액은 11조2771억원에 영업이익 3조8472억원을 기록했지만 2017년에는 매출 9조5109억원에 영업이익은 1조3927억원으로 떨어졌다.

올들어 1분기 동안 전년도 동기에 비해 원전가동률이 17.8% 떨어지면서 영업이익은 무려 65.3%가 떨어진 셈이다. 금액으로는 5565억원이 감소했다.

문제는 올해 한수원 내·외부에서 적자 사태를 빚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각종 지역 지원 사업에 차질이 예상된다. 당장 원전 발전량에 따라 해당 지자체에 지원되는 지역 자원 시설세와 사업자 지원사업 등 법정지원금이 대폭 감소된다.

김인규·이명진 기자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