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경제적으로 부유해지면서 복지 분야에 지원을 많이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10대 경제대국에 오른 우리나라는 복지에 상당한 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으며, 경제 강국의 위상에 걸맞은 복지사업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지난 40년 전만해도 선진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는데 지금은 원조를 하는 나라로 바뀌었다. 각 나라와 무역협정을 체결하고, 세계열강들과 힘든 경쟁을 하고 있다.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태아복지에서 유아복지,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근로자복지, 노년복지, 사후복지까지 이제는 복지 분야도 점차 확대 되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은 전체인구의 10%도 되지 않는다. 고령화가 급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젊은층들이 도시로 유입되면서 출생신고 건수도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고령화에 의한 사망신고 건수가 출생신고보다 날로 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앞으로의 지방행정은 노년복지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건 당연하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인일자리 창출은 꾸준히 확대해야 하며 실버카페, 공병재활용, 로컬푸드, 치매예방사업 등 다양한 사업들을 발굴해야 한다.

또한 장애인 평생일자리 사업 확충으로 활동능력이 있는 장애인에 대한 장애유형별 적합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계획을 세워 꾸준히 증가토록 해야 할 것이다.

각 지자체는 노인과 장애인들의 특성과 욕구를 파악한 맞춤형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 확충하고, 일을 통한 사회참여를 유도해 노인과 장애인들이 살기 좋은 명품복지 도시 조성에 힘써 나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에 가장 먼저 지시한 업무는 ‘일자리위원회 구성’이었다. 그리고 청와대 집무실에 대한민국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했다.

사회복지, 보육, 요양, 장애인 복지, 공공의료 등 사회 서비스 공공기관 일자리 분야에 34만개를 창출하고,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만들기 및 공공부분 간접고용 노동자 직접고용등으로 30만개 내외 확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자체의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 창출은 시대에 맞춰 적극적인 복지정책을 펼치면서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한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의 일자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실정에 맞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지역 자체적으로 노인복지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