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의 구미경제 포기는 TK지역 입지를 내려놓는 것

포항과 함께, 내륙 수출기지로서 경북의 경제를 이끌어 오던 구미지역 경제 분위기가 초상집을 방불케 한다. 언제까지 얼마나 기업들이 빠져나갈지도 가늠할 수 없을 정도라 말을 아껴야 할 지경이다.

이제 막 들어선 민선7기 장세용 구미시장은 최근 인사(人事)를 끝내고 조직의 안정을 찾아가고 있으며, 시의회는 회장단 구성과 함께 시정과 민의 파악에 이제 막 나섰는데, 부여된 과제는 너무나 크고 엄중하다.

30여 년을 넘게 지역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해 온 삼성이 하나 둘 해외 이전을 감행해 구미 시민의 우려를 자아내더니, 이젠 국내 타지(수원·홍천·대구·군산)로까지 생산 공장을 옮기기 시작하자 난감하기 이를 데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나 삼성의 국내 이전은 해외 이전과 달리 구미 시민과 지역 경제계에 더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대기업의 이전과 함께 협력업체들의 동반 이전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수개월 전부터 아니 어찌 보면 수년 전부터 부분적으로 예고된 일이었지만 대처할 마땅한 방안이 없었다는 것도 문제다. 지역 문화 여건과 학군·유통 등 정주 여건 개선, KTX 유치, 구미 국가5산업단지 조성사업, 물류 여건 개선, KOTRA 구미지원단 설치 등 국가 예산지원 없이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그 외에도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 정책으로 대기업들이 연구 인력과 교통, 자본 등이 풍부한 수도권에 집중, 지방 중소도시로는 경쟁력이 뒤처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어려움 가운데 구미시는 최근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의 유탄도 피하지 못했다.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로로 절망한 기업들이 휴·폐업은 물론 해외 이전을 결정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 23일 구미시와 시의회는 삼성 이전 반대 결의와 성명서 발표에 나섰고, 구미경실련과 사회·민간단체, 부녀회 등 각 기관단체도 앞다투어 반대 시위 행렬에 합류하지만 이를 저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다만 구미 시민이 여당인 민주당 소속 구미시장 후보를 대구·경북 최초로 단체장으로 선출한 것은 이렇듯 어려워져가는 경제 상황을 잘 극복해 달라는 기대감의 표현이었다.

청와대와 민주당 중앙당에서도 장세용 구미시장의 당선이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화제가 됐었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구미시 발전을 가로막는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하며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된다.

구미시는 보수의 심장 중의 핵심이며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이다. 이곳이 민주당 시장을 당선시키고서도 민주당 지원의 사각지대로 전락해 피폐한 도시가 되고 만다면, 차후 TK지역에서 민주당 입지는 결코 기대하지 않는 것이 마땅하다.

최근 문 정부의 두 번째 추가경정예산 배정에 있어 광주·호남에 비해 대구·경북지역이 외면 받았다는 것을 지역민들은 다 알고 있다. 대구·경북(250억원)은 광주·호남(1천80억원)에 비해 1/4에 불과하다. 광주·호남이 인구가 훨씬 더 작다는 것을 고려하면 예산 차이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사실 과거 TK 정권이 들어섰을 때는 ‘TK가 역차별 받는 것이 아니냐’ 할 정도로 호남에 대한 배려가 있었는데, 현재 정부의 예산 정책은 ‘단순 수치만 비교해 봐도 보복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는 이들이 많다.

구미시 경제 문제 해결은 구미와 경북도만의 문제가 아니다. 현 정부는 물론 민주당과도 직결된 문제다. 구미 경제를 위한 정부와 민주당의 결단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