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는 우리의 역사 속에 민족과 함께 숨쉬어온 정신적 상징이다. 태극도형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다고 전해지는데, 조선 시대에는 어기라하여 태극주의에 8쾌를 그려 넣어 사용한 바도 있었다. 현재와 같은 태극 주위에 4괘가 그려진 태극기는 1874년 고려 국기라 하여 청국주재 미국인 공사에 의하여 청국에 소개 되었다.

1882년 8월에는 박영효가 수신사로 일본 갔을 때 대외에 공식적으로는 처음 사용하였다. 1883년 1월 고종 20년, 태극 4쾌가 그려진 기를 국기로 사용하도록 왕명으로 공포하였지만 정확한 제작, 사용방법 등을 규정하지는 않았다. 이후 1949년 1월, 대통령 특명으로 "국기시정위원회"를 구성한 이후 수차에 걸친 회의 끝에 현행 국기를 확정한 것이 그동안 우리 태극기 변천의 역사다.

광복절 아침이면 가로기를 제외하고 가정에 게양된 태극기 보기가 힘들다. 관공서에서 달아놓은 태극기만 비바람에 흔들리고 상가나 주택 등지에 내걸린 태극기는 손에 꼽을 정도다.

대단위 아파트 단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곳에는 태극기의 물결을 찾아볼 수 없다. 휴가철인 탓도 있겠지만 갈수록 태그기 달기에는 무관심해지고 있다.

역사적인 순간마다 우리 선조들이 들었던 태극기들을 생각하면 태극기의 소중함과 경건함이 새삼 느껴진다. 선조들은 우리의 조국강산을 지키기 위해 태극기를 펼쳐 들고 얼마나 목이 터져라 대한민국 만세를 외쳤는지를 생각하면 태극기 사랑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평소에 무심코 관공서나 대로변에 펄럭이는 태극기는 그냥 보기 좋아 게양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국민들은 깨달아야 한다.

자자체는 광복절 및 국경일에 국가발전을 위한 국민적 역량을 하나로 결집시켜 나가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태극기 달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아주 사소하고 보잘 것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태극기 다는 일만큼 위대한 일이 또 있겠는가.

제73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펼치는 태극기 사랑 캠페인이나 태극기 기증 운동은 작아 보이지만 실제는 위대한 대한민국을 몸소 사랑하는 행위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태극기 게양을 유도하여 애국심을 고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태극기 사랑운동에 적극 동참해 다가오는 국경일에는 집집마다 국기가 펄럭일 수 있는 국민적 역량을 결집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