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신년연설과 기자회견을 가졌다. “올해는 국민의 삶 속에서 정부의 경제정책이 옳은 방향이라는 것을 확실히 체감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그러려면 성과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지만 연설내용과 국민의 체감온도와는 거리가 있었다.

청와대 영빈관에서 가진 신년 기자회견에서는 ‘혁신’으로 기존 산업을 부흥시키고,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신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1대 99 사회 또는 승자독식 경제라고 불리는 경제적 불평등은 비단 우리만의 문제는 아니라 전세계가 직면한 공통의 과제로, 세계는 드디어 그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성장의 지속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됐다. 그래서 OECD, IMF 같은 국제기구와 주요 국가들은 ‘포용적 성장’을 그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사람중심 경제’와 ‘혁신적 포용국가’가 바로 그 것이다. 공정하게 경쟁하는 공정경제를 기반으로 혁신성장과 소득주도성장을 통해 성장을 지속시키면서 ‘함께 잘사는 경제’를 만드는 것”이라며 “미래의 희망을 만들면서 개천에서 용이 나오는 사회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35회나 언급할 정도로 문 대통령은 경제에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경제 기조가 잘못됐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정부 정책 기조는 유지하면서도 보완할 점을 보완해 가겠다"고 했다. 소득주도성장을 비롯한 기존 경제정책을 밀고 나가겠다는 의지를 또 밝힌 것이다.

이는 경제 현장의 현실을 외면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포용성장이란 애매한 목표만 제시했을 뿐 양극화 해소와 지역 격차 해소에 대한 의지와 전략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문 대통령이 비서실장에게 경제계 인사를 만나라고 지시했지만 경제정책을 바꾸지 않는 한 성과를 거두기는 힘들다.

격식을 깬 형식은 주목받았으나 내용에서는 아쉬움과 실망을 줬다는 평가다. 대통령의 신년 연설과 기자회견에서 국민은 새해 포부와 희망을 주도록 해야 한다. 그러려면 문 대통령은 자기반성부터 시작해 국민의 이해와 지지를 구하는 데 중점을 뒀어야 했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문 대통령의 신년 연설과 기자회견을 지켜보면서 답답함과 걱정이 앞선 국민이 훨씬 많았을 것이다. 대통령이 강조했듯이 미래의 희망을 만들면서 개천에서 용이 나오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비전과 실현가능한 정책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본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