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대표적 개혁사상가인 조광조, 당시 사람들은 그를 두고 狂者·禍胎라고 불렀다. ‘미친 사람’, ‘화를 낳는 사람’ 이라는 뜻이다. 원칙에 철저하고 앎과 행함을 일치시키고자 했던 그가 이렇게 불렸다는 사실은 그때도 지금처럼 매끄러운 선비를 음해하고 요령이 판치는 세상이었음을 반증한다.

연산군의 폭정으로 인해 ‘곧고 용기 있는 사람’이 오히려 화를 입는 미친 짓으로 왜곡됐기 때문이다. 조광조가 개혁의 이상을 펼쳤던 중종 재위(1506~1514) 전반, 조선 전기와 중기의 전환점이 되는 시기로 역사적으로 시기 구분의 기준이 될 정도로 중요했으며 그만큼 변화가 많았다는 뜻이다.

조선 중기 새로 등장하는 정치세력인 士林은 집권세력인 勳戚의 비리와 부도덕성을 비판하고 ‘송곳 하나 꽂을 땅도 없이’ 추위와 굶주림에 신음해야 했던 당시 상황을 성리학적 이념과 제도로 극복하고자 했다.

이들은 연산군 때 사화로 인한 피해에도 좌절하지 않고 꾸준히 학문을 연마하고 개혁의지를 불태웠다. 그리하여 1515년 드디어 조광조 등 기묘사림의 중심인물들은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합하여 요직에 두루 포진, 본격적인 개혁추진의 발판을 마련했던 것이다.

그는 이상주의자이며 원칙주의자였다. 열일곱 살 때 평안북도로 귀양을 가 있던 김굉필을 찾아가 성리학을 배우고 당시의 사회 모순을 해결하고 새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이념이라고 확신하게 된다. 평소 생활에서도 성리학의 가르침을 충실히 따랐는데, ‘미친 사람’, ‘화를 낳는 사람’으로 불린 것도 원칙주의 때문이었다.

성리학에서 이상으로 여기는 요순우(堯舜禹) 삼대의 정치만이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관직에 나아가자마자 그 실현을 위해 노력했다. 30대의 젊은 나이로 司正의 최고 책임자인 사헌부 대사헌에 이르자 개혁의 강도를 한 단계 높였다. 잘못된 사회적 분위기를 혁신하기 위해서는 도학을 높이고 인심을 바르게 하며 성현을 본받고 왕도정치를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위훈삭제(僞勳削除)를 강력히 주장했다.

중종반정 때 책봉된 공신들 중 76명의 공신 명단 삭제를 주장하는 것으로 勳戚의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는 혁명적 개혁이었다. 그러다가 勳戚의 강력한 반발로 이 조치가 단행된 지 4일 만에 기묘사화가 일어났다. 그 결과 그는 서른여덟 살의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이후 50년 만인 1568년 후배 사림에 의하여 영의정에 추증되고 이듬해 文正이란 시호를 받음으로서 다시 역사에 복권됐다.

조광조의 삶은 역사 발전에 대한 믿음, 미래에 대한 대안 제시, 개혁의지와 원칙준수, 자기희생 등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을 준다. 지금 개혁으로 나라를 이끈다고 떠드는 위정자들은 이러한 덕목 가운데 몇 가지나 갖추고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볼 일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