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민 전기차 배터리 전자업과 함께 SK하이닉스도 병행 추진해야

▲ 구미공단전경
정부가 제2의 광주형 일자리 후보지로 구미와 군산을 지정함에 구미공단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무엇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구미시에 따르면 반값 임금과 임·단협 유예 등을 골자로 한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지역 실정에 맞는지 노동시장과 자본금의 용역 분석을 구상하는 준비작업이 12일 들어갔다고 밝혔다.

구미시가 구상한 일자리 모델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전장부품업 포함)과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업 2개 유형△ 5G 기반의 모바일 사업도 추가로 검토하고 있다.

구미시는 최근 10여 년간 지역경제가 크게 위축된 사태로 구미시가 어떤 일자리 모델로 전자 수출도시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고심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사업의 경우 신기술을 개발한 중견기업들과 함께 일자리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판단한다.

구미국가산단에는 전자 중심의 삼성·LG 계열사들을 비롯해 자동차부품 관련 중소기업이 300여 곳 있다.

반도체 등 전자부품업은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클러스터 유치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구미시는 전망했다.

5G 기반 모바일 사업도 삼성전자 구미사업장, LG전자 등과 연계한 일자리 모델로 검토하고 있다.

시는 구미형 일자리 모델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타깃 기업과의 합작 또는 신규·증액 투자 가능성을 살펴볼 계획이다.

반값 임금과 임·단협 유예 등에 협조를 구하지 못하면 상생 일자리 사업이 어려운 만큼 노동계와도 사전협의를 해나갈 계획으로 일자리 모델의 근로자 임금은 구미국가산단 연평균 임금인 3천800만∼4천만원이 될 것으로 내다 봤다.

김상철 구미시 부시장은 "임금을 동결할 경우 구미시가 복지시책을 내놓고, 기업은 경영기반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구미형 일자리 선정 과제는 자본금과 임금 등 여러 사안이 있지만, 함께 할 파트너가 어느 기업이 되느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부산·인천·울산·충북도 내부 검토에 착수해 지역 특색에 맞는 모델을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