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역축제는 1995년의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것을 계기로 급격하게 그 숫자가 늘어났다. 1980년대에는 축제의 수가 50여개에 불과했으나 1995년부터 급격한 상승 곡선을 그리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무려 926개에 이르렀다.

이후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2014년에는 555개까지 그 수가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문화체육관광부의 축제 작성기준에서 제외되는 축제까지 모두 합친다면 그 수는 무려 2,000여 개에 이를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지역의 많은 축제들은 나름대로 살아남기 위한 생존방식이라고 할 수도 있다. 경북도내에는 76개 이상 문화관광축제가 있지만 금액 측면에서 직접 흑자를 내는 축제는 없다고 한다.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축제가 독창적이기 보다 남의 축제를 따라 하기식으로 추진되고 있어 수익보다 적자가 많다는 것이다.

행안부 ‘지방재정 365’사이트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사업비 3억원 이상 전국 축제ㆍ행사는 472건으로 전체 수지는 총부담액 4천372억4,700만원에 수익(보조금+행사 수익)은 고작 818억1300만원에 그쳤다.

대다수 지자체의 경우 민간단체와 언론사에서 주최하는 축제 등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 축제가 가수공연 등 비슷해 차별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효성 없는 축제는 시행하면 횟수에 관계없이 계속해 평가한 후 일몰제 도입 등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일부 언론사의 경우 축제명과 부합되지 못하거나 일몰제 적용 없이 계속 추진하고 있다. 축제형식도 가수공연 등 대부분 비슷해 앞으로 차별화된 아이템 없는 민간 및 언론사 축제는 즉시 정리해 소중한 혈세 낭비가 없도록 시의회와 시민단체 등은 철저히 감시해 과감히 정리해 나가야 한다.

특히 축제 개최 후 비용 정산용 영수증 첨부 시는 보조금 지급 관청이 사실여부를 철저히 확인해 허위, 위조된 서류가 없는지 그물망 정산여부를 철저히 파악 분석해야 한다.

축제 행사마다 시·도비 등 많은 보조금을 지원해 축제를 개최하고 있지만 축제방식이나 장소 등이 비슷해 시민들의 호응도가 떨어지는 행사도 많고, 축제 후에도 제 값을 못해 전국 자치단체의 대규모 축제는 대부분 적자 상태라고 한다.

전국의 지자체는 각종 민간단체나 언론사 축제 후 3년 기간 일몰제를 도입해 불필요한 축제 예산 낭비를 줄여 나가는 방안을 제고해 봐야 한다.

우리나라 축제는 참가자 자기 부담 비율이 월등히 높은 일본 등과 달리 95% 이상이 공공 재원에 의존해 지자체가 과잉 경쟁을 하면서 스펙터클형 축제가 많아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양적으로는 엄청나게 팽창한 데 비해 그 실속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이 우리나라 축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남의 축제 따라 하기식이 아닌 차별화된 축제가 돼야 건전한 공동체 형성에 기여해 혈세낭비 논란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