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강한 권한을 가진 조합장을 뽑는 전국 동시조합장 선거가 막을 내렸다. 지난 2015년부터 시작된 선거는 이번이 두 번째다.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 선거는 농협과 축협 1100여 곳, 수협 90곳, 산림조합 140곳 등 모두 1,344개 조합의 대표자를 선출하며 이번 선거에 등록한 후보자는 3천400여 명으로, 평균 2.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조합별로는 농·축협 조합장 경쟁률이 2.6대 1, 수협이 2.5대 1, 산림조합이 2.3대 1을 나타냈으며, 선거권자는 225만 명에 달한다.

이처럼 많은 조합장을 뽑아야 되는 선거지만 후보자들의 상세한 정보가 부족해 현직이 훨씬 유리한 선거제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번 선거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현직이 71%나 당선됐다. 앞으로 선거 후 제도적 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유권자들이 후보자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투표소로 향하면서 드러나지 않았지만 상당수 선거구에서 돈 선거로 치러졌다는 뒷말이 무성하다. 이에 선거제도 개선과 함께 개혁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조합원 주인의식 교육, 인위적 무자격 조합원 정리, 청년조합원 유입 등 선거 때마다 불거지는 무자격 조합원 논란에 대해서도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일본 협동조합 사례를 벤치마킹해 청년농의 경영참여 할당제를 적용하는 등 무자격조합원의 빈자리를 젊은 피 수혈로 채워야 한다”고 조언한다.

조합장이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휘두르는 조직의 폐쇄성을 타파하고 생산, 판매, 조합장 선출 등 곳곳에 조합원 교육을 통한 주인의식 회복해야 한다.

또한 농촌 고령화로 인해 줄어드는 조합 규모를 인위적으로 유지시키는 허수 방지로 무자격 조합원 정리와 동시에 청년조합원 유입도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동시 조합장 선거 특성상 깜깜이 선거를 통한 돈 선거가 계속되는 까닭은 많은 돈을 써도 당선만 되면 억대 연봉으로 만회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며 당선 후도 조합장에게 지나친 권한을 줘서는 안 된다.

조합장은 상근직이 아닌 비상근 명예직화해서 조합장 소환제와 노동이사제 등을 도입한다면 조합장이 돈벌이나 권력 상승 수단이 아니라 진정한 조합의 이익을 대변하는 자리로 거듭날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