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국회의원 2곳이지만 정치적 무게가 만만치 않게 부여된 4·3 국회의원 재·보선이 1대1 무승부로 끝났다.
창원 성산 개표 결과 정의당 여영국 후보는 4만2663표, 한국당 강기윤 후보는 4만2159표로 여영국 후보가 504표 차이로 힘들게 승리했다.
통영‧고성에서는 정점식 한국당 후보가 4만7082표,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2만8490표를 얻어 정점식 후보가 여유 있게 당선됐다.
여야가 당력을 총집중했지만 현 의석을 지키는 데 그쳤다.
기초의원 보궐선거에서는 경북 문경시 나·라 선거구는 모두 자유한국당 후보가 당선됐고, 전북 전주시 라선거구에서는 민주평화당 후보가 당선돼 더불어민주당은 1석도 가져가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의당과의 후보 단일화로 창원 성산에서 한국당을 꺾었을 뿐 아니라, 2016년 4월 총선에선 후보조차 내지 못한 통영·고성에서 민주당 후보가 유의미한 득표를 한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상황을 좀 더 냉정하게 직시할 필요가 있다.
영남권에 국한된 선거여서 전국적 민심을 살피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문재인 정부 집권 3년차에 치러지는 재·보선은 중간평가 의미를 띨 수밖에 없다.
이번 선거는 현 정부의 경제 침체와 취업난으로 인한 실망이 표심으로 표출된 측면이 있다. 특히 전국적으로 민주당 지지율이 하락 추세에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당이 내세한 ‘정권심판론’이 먹혀들었다고도 보이지 않는다. 한국당이 변화하고 혁신하지 않으면서 정부의 실정에만 기댄 반사이득은 분명히 한계가 있다는 것이 이번 선거에서 드러났다.
이번 선거 결과로 한국당 황교안 대표 체제는 일단 순항하겠지만, 그렇다고 영남권 민심의 확고한 지지를 받았다고 보긴 힘들다.
자유한국당은 좀 더 책임있는 제1야당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민심은 등을 돌린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어느 선거도 민심이 담기지 않은 선거는 없다.
4·3 재보선 결과는 여야 어느 한쪽에도 확실한 정국 주도권을 주지 않았다. 이는 여야가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견제할 것은 견제하라는 민심의 요구다.
청와대도 선거로 표출된 민심을 잘 헤아려 국정을 일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특히 문재인 정부를 향한 국민의 경고에 귀를 기울이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