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야 토기 가마가 경남 창원에 있는 까닭은

▲ 송림리 송풍관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은 국립김해박물관과 함께 이달 9일부터 오는 6월 16일까지 대가야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대가야 토기 공방, 고령 본점과 창원분점’ 기획특별전을 공동 개최한다.

2017년 6월 초 문재인 대통령이 국민통합과 지역 상생발전을 위해 가야사 연구와 복원을 제시하여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가야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비롯한 가야고분군이 올해 3월 ‘세계유산 등재 후보’에 선정되었으며, 2021년 등재를 목표로 관계 기관에서 노력 중에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발맞추어 대가야와 가야를 종합적으로 전시·연구하는 고령 대가야박물관과 국립김해박물관이 의기투합하여, 예술성과 실용성을 갖춘 한국 고대 토기 문화의 정수로 평가받고 있는 대가야 토기의 생산과 유통에 대해 알아보는 역사를 재조명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전시는 대가야의 중심지인 고령 송림리가마터와 지산동고분군, 경남 창원의 중동가마터와 중동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한 자리에 모아 비교하는 장으로, 대가야 토기가 어디에서 생산되어, 어떤 유통 과정을 거쳐 소비되었으며, 그것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이해함으로써, 가야사의 연구·복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특별전은 모두 4개의 주제로 구성했다.

1부에서는 ‘대가야 토기의 생산과 유통’의 의미를 살피고 대표적인 토기를 전시하였다. 2부에서는 고령 송림리가마터와 지산동고분군에서 출토된 토기와 전돌을 전시하였다. 3부에서는 창원 중동가마터와 중동고분군에서 출토된 토기를 전시하였다. 4부 프롤로그에서는 고령 송림리가마터 출토 송풍관을 백제(진천 석장리)와 신라(밀양 사촌리)의 송풍관과 비교함으로써, 가야의 철생산 증거임을 부각하였다. 전시유물은 가마터와 고분군에서 출토된 토기와 전돌, 송풍관 등 200여점과 토기조각 수백여점이 전시된다.

경남 창원은 고령과 거리가 멀고, 대가야 문화권에 속한 지역이 아니었음에도 중동 토기가마와 고분군에서 출토된 토기는 고령의 것과 형태는 물론, 제작기법에서 완전히 동일하여 구별이 되지 않는다. 대가야의 토기 장인이 직접 파견되었거나 기술을 제공해 토기공방을 운영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가야 토기가 그만큼 인기가 높아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고령에서 멀리 떨어진 창원 중동에 새로운 생산과 유통 거점을 구축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런 점에서 창원 중동 토기가마는 대가야 토기 공방 ‘창원 분점’이라 부를 만하다.

한편 특별전 개막식과 함께 지난 1년 동안의 전시 리모델링 사업을 마치고 새롭게 단장한 대가야왕릉전시관의 전시 관람이 예정되어 있다. 대가야왕릉전시관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굴조사된 최대규모의 순장왕릉인 지산동 44호분을 재현한 ‘순장 왕릉 전문전시관’이다.

또한 고령군에서는 오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대가야읍 일원에서‘대가야의 화합(대가야의 과거·현재·미래)’이라는 주제로 대가야체험축제가 개최될 예정이어서 축제장 내 왕릉전시관에서 펼쳐지는 전시회는 가야사 연구와 복원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