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를 원자력안전 종합연구개발 허브로 조성하는 첫 단추 뀄다는 점에서 의미 부여

중수로 원전해체연구소로는 세계 최초…원전해체에 따른 경북 경제적 효과 8조4천억 예상
경북도·경주시, 방사성폐기물 정밀 분석센터 건립 등 원전허브 육성 대책 촉구


경수로 원전해체연구소가 부산·울산 접경지에 설치되고 대신 경주에는 중수로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키로 하자 그동안 유치활동을 벌였던 경북도와 경주시는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하지만 경주를 원자력안전 종합연구개발 허브로 조성하는 첫 단추를 뀄다는 점에서 의미를 두고 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15일 오후 고리원자력본부에서 경주시, 한수원, 산자부 등 관계기관이 함께한 가운데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에 필요한 사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관련기사 2, 3면

도에 따르면 앞으로 중수로 분야의 원전해체기술개발과 인력양성 등을 담당할 (가칭) 중수로 원전해체연구소는 국비 30%, 지방비 10%, 한수원이 60%를 각각 분담해 설립될 예정으로 올 하반기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에 따라 구체적인 사업규모가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경수로 해체는 이미 미국·일본·독일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반면, 중수로는 해체 실적이 없기 때문에 최초의 중수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통해 63조원에 이르는 세계시장을 선점하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전국적 예상되는 경제효과는 18조원 정도인데 지역별로는 경북이 8조4천억원으로 가장 많고, 부산과 전남이 각각 3조6천억, 울산이 2조4천억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도와 시는 그동안 국내 원전의 절반에 가까운 14기가 몰려있는 경북 동해안이 원해연 최적지란 입장으로 유치에 전력했다.
경주에는 원전 운영을 맡은 한국수력원자력과 방사성폐기물을 관리하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원전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한전KPS 원전종합서비스센터가 모여 있고, 김천에는 원전 설계기업인 한국전력기술이 있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이에 경주시는 2014년 3월 원자력해체기술연구사업 참여의향서를 낸 뒤 원해연 유치위원회를 구성했고 시민 서명을 받는 등 유치에 힘을 쏟았다.
경주에 원전 설계-건설-운영-해체-폐기 전 과정이 모인 만큼 원해연이 들어설 최적지란 점을 적극 부각하고 유치활동에 나선 것이다.

이번 결과에 대해 경주시원전범시민대책위 관계자는 15일 "정부가 사용후핵연료 이전 등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원해연도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입지를 선정했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중수로 해체연구소가 많은 경제적 효과를 가져오는 측면이 있지만 경수로 부문까지 유치하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며 "정부의 원자력 분야 추가 사업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다만 경북도와 경주시는 전 세계 중수로 원전이 10개국 63기에 달하는 만큼 경주 중수로 연구소 설립을 계기로 경주를 원자력안전 종합연구개발 허브로 조성하는 장단기 계획을 정부에 강력 요청하는 등 향후 대응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우선, 중수로 원해연 설립을 통해 세계시장을 선점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 원전해체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해 경주에 가칭 방사성폐기물 정밀 분석센터 건립을 정부에 요청했다.
도는 정부에 방사성폐기물 정밀분석센터 설립, 사용후 핵연료 과제 관련 지방세법 개정, 천지원전 자율유치지원금 380억원 영덕 사용, 원전지역 지원특별법 제정을 요청했다.
/이명진·안상수·이임태 기자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