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를 벤치마킹한 ‘구미형 일자리’가 탄생할지에 지역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 수석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제2·제3의 광주형 일자리, 즉 상생형 일자리를 더 활성화해야 한다"며 "6월 내에는 한두 곳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 수석은 지난 2월 기자간담회에서도 '제2의 광주형 일자리'를 거론하며 그 후보지로 "구미, 대구 등이 아주 구체적인 계획을 가진 것 같다"고 소개한 바 있다.
여기에 최근 장세용 구미시장도 청와대를 방문 김수현 정책실장, 윤종원 경제수석, 정태호 일자리수석 등을 만나 상생형일자리와 관련한 논의를 했다. 협의가 진행 중인 업종은 전기차 배터리 분야이다. 전기차 배터리 업종에서 상생형 일자리가 타결된다면 참여 가능한 대기업으로는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이 꼽힌다.
‘구미형 일자리’는 침체된 지역 경제 탈출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역민들의 절박함과 대구·경북에서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 출신 장세용 구미시장의 열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장 시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역 경제를 살려야 한다며 줄기차게 정부에 ‘상생형 일자리’ 사업 추진을 요청해 왔다.
구미는 삼성·LG 등 대기업 공장이 최근 10년 새 수도권과 해외로 이전해 침체의 늪에 빠졌다. 질 좋은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근로자는 구미를 하나둘 떠나고 있다. 구미 산업단지 근로자는 2015년 10만2240명에서 지난해 10만명(지난해 말 9만3000여명) 선이 무너졌다. 산업단지 가동률은 40%가 채 안 되는 상황이다. 실업률은 2014년 2.7%에서 지난해 상반기 5.2%로 높아졌다. 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을 정도로 지역 경제가 말이 아니다.
구미는 기업에서 비교적 낮은 임금을 주면 정부·지자체에서 복리후생을 지원해 보완하는 방식의 ‘구미형 일자리’가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회통합형 일자리 창출 방안인 ‘구미형 일자리’는 구미로서는 회생의 돌파구인 셈이다.
이제 ‘구미형 일자리’의 관건은 전기차 배터리의 사업성 확보, 노동계 반발 극복, 자본 유치다. 가장 큰 난제는 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생산하느냐는 것이다. 광주형 일자리 경우 경형 SUV(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를 연간 7만 대 생산할 계획이지만 경차 수요가 줄어들어 성공을 장담하기 어렵다. 아무쪼록 전기차 배터리 사업의 경쟁력이 확보돼 구미 경제가 다시 설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