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에 종사하는 조리사 및 돌봄전담사 등이 소속한 학교비정규직 파업이 지속되고 있다. 5일까지 예고된 파업이지만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장기화될 조짐도 있어 학부모는 물론 국민들의 우려를 자아내게 하고 있다.

파업 이틀째인 4일 대구·경북지역에서 급식을 중단한 학교는 전날보다 줄어든 142곳으로 잠정 집계됐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478개 공·사립학교에 근무 중인 학교 비정규직 7천865명 중 605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전날 파업 참여자 463명보다 142명이 늘었다. 경북에서는 이날 769개 공·사립학교 공무직 9천500여명 중 570명이 파업에 참여해 전날 992명보다 파업 참가자가 420여명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급식중단 학교 수도 전날 171곳에서 108곳으로 줄었다.

급식이 중단된 학교는 빵과 우유를 제공하거나 도시락을 지참케 했다. 일부는 단축 수업을 했다. 빵과 우유로 끼니를 때우는 것도 하루 이틀이지 장기화되면 문제가 심각하다. 학생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도시락도 마찬가지. 평소 학생 도시락 부담에서 벗어나 급식에 의존하던 학부모들은 계속해서 도시락을 준비하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 일부 돌봄교실 운영도 차질을 빚고 있다. 교육 당국이 대체 급식 등으로 불편 최소화에 나섰지만 역부족이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현 정부 임기 내 임금을 9급 공무원의 80%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며 기본급 6.24% 인상과 정규직과 비정규직 수당 차별 해소를 주장한다. 이에 교육 당국은 기본급만 1.8% 인상하자는 안으로 협상에 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막판 협상이 결렬돼 2년 만에 파업이 되풀이되는 상황을 맞았다. 이번이 아니더라도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면 계속해서 이런 상황을 맞게 될 것이다.

학교 비정규직의 노동 조건은 정부 예산과 연결되는 사안여서 어떤 방식으로든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 학생과 관련된 부문은 국민의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떻게든 파업 장기화는 없어야 한다. 학생과 학부모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노조, 교육 당국, 정부가 지혜를 모아 현시점에서 도출할 수 있는 합의점을 신속히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