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15일 치러지는 제21대 총선이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 이후 처음 치르는 총선이다. 문재인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이 짙어 여야가 사활을 걸어야 할 상황이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은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하는가 하면 중도층이 이탈하며 여권이 휘청거리고 있다. 두 달 넘게 이어진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파장 탓이다. 조 장관 사퇴를 외치는 야권과 방어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내년 총선에서 여야의 운명을 판가름할 전망이다.

조국 사태 외에 변수도 많다. 먼저 선거법 개정을 꼽을 수 있다. 국회 패스트트랙에 오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선거를 치른다면 정의당 등 소수정당이 원내에 더 진출하고 민주당과 한국당은 의석이 감소할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지난 4월 패스트트랙 충돌 관련 고소·고발 사건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지도 주목하고 있다. 검찰의 수사선상에 오른 국회의원은 자유한국당 60명, 더불어민주당 40명, 바른미래당 6명, 정의당 3명, 여기에 문희상 국회의장까지 모두 110명이다. 수사결과에 따라 이들 의원이 공천에서 배제될 수 있다. 보수대통합과 호남 신당 창당 등 야권발 정계개편 가능성도 선거 구도를 좌우하는 주요 변수로 꼽힌다.

가장 큰 변수는 침체일로를 겪고 있는 경제가 될 것이다. 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따른 경기부진이 이번 총선에서 심판대에 오를 전망이다. 조국 정국에 빠진 지난 두 달간 민생 현안은 사실상 정지된 상태이다. 경제는 더 나빠지고 있다. 중산층이 붕괴되고 있다. 문 정부가 총선 전 서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상황을 만들어 낼 지에 따라 여야의 승패가 갈릴 것으로 보여진다.

내년 총선에서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이긴다면 국정 동력을 배가해 정권 재창출의 길을 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반대로 자유한국당을 비롯해 이른바 보수 계열의 야권이 승리한다면 정권 교체의 교두보를 확보하게 된다. 당리당략을 떠나 정당들은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무엇보다 변화와 혁신을 해야 한다. 국민들은 장외집회 등 거리로 나서는 정당을 원하진 않는다. 의회정치를 외면하는 정당에 유권자들은 등을 돌릴 것이다. 서민에게 희망을 주고 중도층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여야는 무엇을 해야할지 심각하게 고심해야 한다. 국민들은 좋은 정책을 제시하며 정책선거를 이끄는 정당을 보고 싶을 뿐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