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초미세먼지 중 32%는 중국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첫 공동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한 이번 연구 결과에서 밝혀지지 않았지만, 겨울철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에는 국외 영향이 커지며 국내 미세먼지 중 중국발 요인이 70%에 이르는 것으로도 파악됐다. 20일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한중일 3국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간한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 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서울, 부산, 대전 등 국내 3개 주요 도시의 초미세먼지 발생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32%가 중국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요인은 절반을 약간 넘는 51%였다. 국내 초미세먼지에서 차지하는 중국 요인이 처음 수치로 확인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조사는 특정 연도, 그리고 초미세먼지에만 국한한 것이어서 중국이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문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담아내지는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 중국, 일본의 분석 결과 수치가 제각각이어서 결국 단순 평균값으로 발표했다는 문제도 있다. 또 겨울철 같은 미세먼지 고농도시기에 대한 조사는 이번 발표에서 빠져 있어 일반 국민의 체감도와 거리가 있다는 문제가 있지만 나름의 성과가 있었다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

찬바람과 함께 찾아오는 미세먼지는 우리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한다. 특히 노인이나 영유아, 어린이, 임신부와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자에게는 그 위험성이 더 크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의 걱정 크기도 예전 같지 않다. 세계적인 대기오염 조사기관이 지난해 전 세계 73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만 봐도 심각하다. 연평균 초미세먼지 수치에서 한국의 오염도는 27번째로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는 2번째다. 초미세먼지(PM 2.5) 영향으로 기대수명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에 사망하는 고령자 수가 2030년 서울에서만 연간 2천명이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무총리실 산하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는 최근 2020~2024년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종합계획을 세웠다. 또 올겨울부터 내년 봄까지의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에 대응하기 위한 단기대책도 내놨다. 이에 앞서 지난 10월에는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가 대국민정책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예산을 늘리는 등 하루가 멀다하고 정부가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 등 지자체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장단기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요인은 물론 중국발 미세먼지 등 국외요인까지 아우르는 체계적인 미세먼지 저감계획을 세워야 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