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포 포항명성교회 담임목사

영화 ‘남산의 부장들'은 사건보다 인물(캐릭터)의 감성을 자극한 영화다. 영화는 인물의 감정에 충실하면서 탄탄한 줄거리를 만들어 간다. 그리고 이 영화는 전형적인 남성의 색채를 풍긴다. 그러면서 왜라는 물음표를 던지면서 관객들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들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하도록 멍석을 깔아준다. 어떤 면에서는 관객들을 존중하는 영화다. 감독은 영화의 결론을 관객들에게 맡긴다. 그래서 이 영화는 친절한 영화다. 감독이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역사의 사건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역사적인 사건을 재해석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영화 ‘남산의 부장들’은 10.26 사태라는 팩트에서 시작한다. 중앙정보부 부장이었던 김재규가 박정희 전 대통령을 총으로 쏴 시해한 10.26 사태가 일어나기 전 40여 일간을 다룬다. 역사가 알려진 사건이기에 새로운 느낌은 없지만, 왠지 영화 내내 몰입이 되고, 팽팽한 긴장감이 영화 속으로 빠져 들게 한다.

“각하, 제가 어떻게 하길 원하십니까” "제가 각하의 옆을 지키겠습니다"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규평(이병헌)이 대한민국 대통령을 암살한다.
미국에서는 전 중앙정보부장 박용각(곽도원)이 청문회를 통해 전 세계에 정권의 실체를 고발하며 파란을 일으킨다. 그를 막기 위해 중앙정보부장 김규평과 경호실장 곽상천(이희준)이 나서고, 그들은 절대권력 앞에 충성을 다짐하고 절대 권력자는 줄 세우기를 하지만 결코 2인자를 용납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관계중심이 아니라 일 중심적이고 권력 지향적이다. 이것은 남성이 가지는 또 하나의 욕망이다. 이 욕망과 욕구는 비뚤어진 감정으로 바뀌게 되어 결국 관계는 균열이 일어나고 옛날의 동지는 적이 되고 만다. 그래서 이 영화는 중후한 무게감을 느끼게 한다.

대통령 주변의 인물 그들 모두는 박정희 대통령 곁에서 총애받길 원하면서 자신의 논리와 전략에 따라 움직인다. 대통령 주변에는 자신의 권력욕을 채우기 위해 잘못된 충성 경쟁을 벌인다. 충성 세력과 반대 세력들이 파워게임을 한다. 잘못된 줄서기는 과잉충성을 생산하고 잘못된 줄 세우기는 결국 서열을 만들고 결국 그것은 흔들린 충성이라는 사생아를 낳고 드디어 그 날의 총성으로 절대 권력은 쓰러지고 그 역사의 사건 현장은 피바다가 된다.

절대 권력자 주변에는 충신이 있는 반면에 간신배도 있다. 충신은 목숨 걸고 군주에게 직언을 하고 충언을 한다. 그러나 간신은 군주가 듣기 좋은 말만 골라서 한다. 소위 사탕발림의 달콤한 말이다. 이렇게 간신은 군주의 쾌락을 부추킨다. 참으로 어진 신하는 군주가 바로 설수 있도록 뒤에서 도움을 주는 참모의 역할이다. 그래서 신하는 영리해야하고 군주는 귀가 밝아야하고 판단력이 좋아야한다.

영화에서 중앙정보부장 김규평(이병헌)은 권력에서 밀려나고 자기가 모신 절대 권력자와 동료들에게 인격적인 모욕감을 당한다. 소위 소외감, 외로움, 열등감, 질투, 분노, 불안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 참을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면서 “각하 우리가 어떻게 혁명을 이루어 냈습니까?” “우리들이 왜 혁명을 했습니까?” 하며 혁명의 정체성에 의문을 던지며 탄식을 자아낸다. 결국 18년간 지속된 독재정권의 종말은 권력에 줄 세우기 그리고 과열되고 잘못된 ‘충성 경쟁’ 때문에 막을 내린다.

사람의 감정은 호르몬의 작용만으로 생기지 않는다. 감정은 외부의 자극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다. 우울함과 슬픔 같은 감정도 그런 반응을 촉발한 자극 때문에 생겨난다. 자신에게서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타자로 인해 삶의 의미가 무너지는 일은 우울감을 준다. 동시에 세상과 관계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것은 소외감을 이끌어 낸다. 그래서 가끔 남자들은 감정이 격하게 흔들리는 것이다.

이 영화는 대통령의 사람들이 권력의 달콤한 맛에 취해 권력을 내려놓을 수 있는 시기를 놓치면서 벌어지는 2인자 충성경쟁의 말로를 그린다. 그러다 보니, 어두움(누아르)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

우민호 감독은 “사건과 역사에 나의 메시지를 담고 싶지 않았다. 따라서 역사의 공과보다는 인간의 내면과 감정을 들여다보면서 그들이 왜 그런 말과 행동을 했을까 하는 걸 담고 싶었다”고 제작 원칙을 설명했다.

우 감독은 “영화에서 보여주는 균열, 파열의 감정에서 비롯된 충성, 배신, 질투, 시기, 집착은 우리 경쟁사회에서도 느낄 수 있는 보편적 감정”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분명한 건 정당성을 상실한 권력의 유지는 그 자체가 역겨운 것이 아닐까?

영화 ‘남산의 부장들’ 은 18년에 걸친 오랜 독재 말미에 권력에 취해 비틀거리는 박정희 대통령의 모습을 너무 잘 담아냈다. 이 영화는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숨이 막히는 생존드라마로 완성하며 어두웠던 우리 현대사의 슬픈 이면을 새롭게 조명한다.

그 날 밤, 총성이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었을까?
대통령을 시해하고 육본으로 가지 않고 중앙정보부로 갔다면 우리의 역사는 어떻게 되었을 까? 박대통령이 좀 더 일찍 권력을 내려놓았다면 우리의 역사는 어떻게 되었을까? 이런 질문은 그 날의 무게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던질 수 있는 질문이다.

영화 ‘남산의 부장들’을 보고 나오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났다. 정치나 권력은 자업자득이요 인과응보요 사필귀정이라는 사실을…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