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이완영(국회 미래환경연구포럼 대표위원)

자원절약, 에너지재활용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포스터대회 등에 단골로 등장하는 주제인 만큼 대다수의 국민들이 필요성을 인정하며 공감하는 사안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사용가능한 많은 자원들이 재사용․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다.

환경부에서 발표한 ‘제4차 전국폐기물 통계조사(2013년도)’에 따르면, 가정 및 사업장에서 버리는 종량제봉투 속에는 종이류, 플라스틱류, 금속류, 유리류 등 물질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 약 70%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당장 여러분의 집에 있는 휴지통을 한번 보시기 바란다.

미국의 경우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의 프레이팜 매립지는 1991년부터 5년간 과거에 묻었던 폐기물들을 다시 파내, 이 중 56%는 연료로 에너지를 회수했고, 41%는 성토재로 활용해 토양으로 되돌려 보냈으며, 다시 매립한 것은 타지 않는 폐기물 3%뿐이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영국,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독일은 2005년부터 생활폐기물이 처리되지 않고 바로 매립되는 것을 금지해 2010년 생활폐기물 발생량 대비 매립률이 0.42%를 기록했다.

이 문제는 분리수거를 잘 한다고 해결될 것은 아니다. 국민들이 의지를 가지고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려해도 관련 인프라가 매우 미흡하다. 아파트 및 단독주택가에 분리수거함을 설치하고 있지만 수거물질 종류가 한정돼 있고, 장소가 부족한 단독주택가나 군 단위 지역은 분리수거함조차 없는 곳이 많다. 특히 요즘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발생량만 연간 약 500만 톤에 달하며 매년 9천억 원의 처리비용이 발생한다. 이런 음식물쓰레기는 퇴비․사료화, 바이오가스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지만 수거체계가 미흡하고 수거되더라도 처리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돼 재활용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농촌지역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농촌지역은 생활폐기물, 음식물폐기물 분리수거 및 재활용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고, 폐비닐, 폐농약통 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폐비닐의 경우 최근 5년간 연평균 발생량은 약 32만톤이지만 수거율은 56.3%에 불과하다. 폐농약통은 전체적인 회수율은 68%이지만 농약봉지의 회수율은 37%에 불과한 실정이다. 회수되지 않은 농약봉지는 무단 투기돼 강한 독성으로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켜 결과적으로 우리가 먹는 음식물이 농약과 폐비닐로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와 시급한 개선이 절실하다.

지자체는 쓰레기 수거, 자원화에 예산 투자해야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위해 지자체는 국가정책, 국가재정에만 의존하지 말고 자원화에 더욱 많은 예산을 투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필요하다면 환경미화 인력 및 차량 충원, 주말 특근을 하더라도 자원화를 위해 발 벗고 나서야 한다.

필자는 노동부 공무원시절부터 유럽의 선진 자원화정책과 성숙된 시민의식에 깊은 감명을 받아 편지봉투에 붙어있는 비닐까지 일일이 분리하는 등 일상생활 속의 작은 실천을 생활화했고, 지난 19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으로서 우리나라 폐기물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고민과 노력을 했었다.

우리나라 폐기물 정책의 핵심은 바로 ‘자원화’다. 자원순환사회란 한번 사용된 물건을 ①아껴쓰고, ②다시쓰고, ③고쳐쓰고, ④재원료화하고, ⑤마지막 에너지까지 소각을 통해 회수하는 순서로 최대한 이용하는 사회를 말한다. 성공적인 자원순환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폐기물이 곧 자원’이라는 가치관으로 폐기물을 순환이용 하는 것을 최대화하고, 소각이나 매립 등 최종처분 하는 것은 최소화하는 체계로 대전환해야 한다.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본격화하여 지속가능국가를 만들겠다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지난 2월 「자원순환사회형성 기본법안」을 대표발의 하였고, 법안이 통과되면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통해 ①자원사용 최소화로 자원빈국 극복, ②자원순환 시장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경제발전, ③폐기물의 매립제로를 통한 쓰레기 최소화라는 세 가지 희망메시지를 국민 여러분께 안겨 드릴 수 있을 것이다.

자원순환은 후손을 위해 우리가 반드시 해야 할 의무이자 책임이다. 한정된 자원을 후손에게 잘 물려줄 수 있도록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위해 국민 모두가 힘을 모으자. 우리 모두 ‘나하나 쯤이야’, ‘내가 안 해도 누군가는 하겠지’에서 ‘나부터 먼저’, ‘내가 아니면 안 된다’로 생각과 행동을 바꾸자.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