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강진 이후 6일까지 여진 561번째

9.12 경주 강진 이후 여진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한반도에서 규모 7.4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지질학자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어 지진대비책이 조기에 완비돼야 한다는 여론이확산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6일 오전 5시 31분께 경주시 남남서쪽 11km 지역에서 규모 3.3 지진이 일어난 데 이어 이어 2분 뒤인 33분께는 남남서쪽 10km 지역에서 규모 2.2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지난해 9월 12일 발생한 규모 5.8 지진 이후 561번째 여진으로 기록됐다.
4개월째 여진이 잇따르면서 한반도에서 대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진이 반복되는 곳은 약한 곳이고 단층이 있던 곳으로 볼 수 있다”며 “그간에 쌓인 응력과 최근 계기 지진 자료 등을 토대로 확률론적으로 볼 때 규모 7 중반의 대형 지진도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홍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조선시대 발생한 역사지진 자료에는 지진 피해 기록만 남아 있으며, 지진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나 규모는 알 수 없다.
연구팀은 1978년부터 공식적으로 관측된 지진 자료를 분석해 지진이 이미 이전에 났던 곳에서 다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진원의 위치를 역산·추적하고 당시 사료에 기록된 지진 피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한반도에서 규모 7.4의 지진까지 날 수 있다는 게 홍 교수의 설명이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도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지진을 7.0까지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게 지질학자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779년 경주, 1643년 울산에서 발생한 역사 지진을 7.0 넘게 평가하는 이들도 많다”며 “규모 7이 넘는 수치를 제시하는 학자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가 아닌 내부에 있어 그 정도까지 커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그는 정부가 최대 지진을 규모 6.5로 가정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밝혔다.
손 교수는 “원전 내진설계 기준에 맞추기 위한 것이 아닌지 의심도 든다”며 “지난해 12월 내놓은 ‘지진방재 종합대책’에서는 원전 내진 기준을 0.3g(규모 7.0) 수준으로 보강하겠다고 발표한 것을 보면, 정부가 학계의 의견에 동의하는 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그러면서 “779년 경주에서도 큰 지진이 발생해 100명 이상이 숨졌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며 “건물 전반에 대한 내진 설계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