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한중일 지방정부간 교류와 화합을 이끌다.
제16회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회의’구미에서 개최
경북도는 경북도, 구미시, 전국 시도지사협의회 공동주최로 9월 1일부터 4일까지 구미 일원에서 ‘제16회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1일 개회식 겸 경상북도지사 주재 환영만찬과 2일 본회의,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주재 환송만찬을 비롯해 ‘경북을 대표하는 산업과 인문자원을 활용한 지역개발’이라는 테마로 구미, 포항, 안동, 경주, 영주 등을 포함하는 4개의 시찰 코스가 운영된다.
이번 제16회 회의는 일본 지자체의 재정난에 따른 국제교류 예산 감소와 중국의 정풍(正風)운동과 관련 공무국외여행 심사가 강화에도 불구하고 489명의 한중일 공무원이 참가신청을 했다.
한국 17개 시·도 51개 단체 212명, 중국 22개성 51개 단체 218명, 일본 15개현 18개 단체의 59명이 신청해 한중일 3국의 우호관계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특히 종전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회의’가 광역지자체만이 유치하던 국제회의였다면 이번 16회는 광역지자체인 경북도와 기초지자체인 구미시가 상호 협력해 유치하고 개최했다는데 더욱 의미가 깊다.
김관용 도지사는 1일 오후 6시 30분부터 구미 금오산호텔에서 시작된 VIP상견례를 통해 중국과 일본의 지방정부 대표를 맞이해 환영의 뜻을 전하고 환영만찬을 주재했다.
김관용 도지사는 환영사에서 “한중일 3국이 국제사회 속에서 정치․경제적으로 동북아지역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비중 있게 커진 경제규모와 국력에도 불구하고 지역을 통합할 수 있는 공동체를 구성하지 못한 점을 매우 아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16회 회의를 계기로 한중일 3국의 국민 간 의식과 사고의 차이를 극복하고 함께 소통해 서로 존중하는 사회적 풍토를 조성 동북아지역의 평화로운 미래를 건설하는데 함께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회의’는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지방자치단체의 세계화 흐름에 따라 한중일 3국 지방정부 대표기관인 한국국제화재단(전국시도지사협의회 前身)과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 및 일본자치체국제화협회가 합의해 1999년에 제1회를 서울시에서 개최했다. 지금까지 3국이 순환 개최해 오고 있으며 금년 구미시 개최에 이어 내년도 제17회 회의는 중국 저장성의 대표적인 소상품 도시 이우시에서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