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조사에 '朴대통령 포함' 할까?
박영선 "핵심은 청와대 보고지휘체계 점검"
박영선 "핵심은 청와대 보고지휘체계 점검"
김재원 "현직 대통령 조사 도저히 이해 안돼"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를 실시하기로 합의한 후 국정조사대상에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를 포함시키느냐를 두고 여야가 충돌하고 있다.
여야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정조사 요구서를 보고한 뒤 관련 특위를 구성하고 오는 27일 본회의에서 국정조사 계획서를 처리하기로 합의한 상태지만 조사범위를 두고 이견을 보이면서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요구서가 오늘 본회의에서 보고되고 27일 본회의에서 국정조사계획서를 처리하기로 이미 여야가 합의한 상태"라며 "그런데 실무적으로 국정조사요구서 문구를 서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어제부터 새정치민주연합이 전·현직 대통령을 조사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수석은 "도대체 전직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와 무슨 관계가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현직 대통령을 조사해야 된다는 것도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수석은 "도저히 무슨 의도로 이런 문구를 넣었는지 이해할 수 없어 이 문제에 대해 아직까지 합의가 되지 않고 있다"며 "청와대 NSC(국가안전보장회의)까지는 조사대상이라고 하더라도 청와대 전체를 조사하겠다는 야당의 주장은 도저히 수긍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서 "국민과 유가족들은 지금 철저한 진상조사를 원하고 있다"며 "새누리당은 오늘로 예정돼 있는 국정조사요구서의 조사범위에 청와대를 빼자고 주장하면서 요구서 합의를 이 시간까지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번 세월호 진상조사의 핵심에는 청와대 보고체계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를 반드시 짚어봐야 한다"면서 "국민들은 초반 72시간동안 어떠한 보고체계가 있었기에 단 한명의 생명도 구하지 못했는지에 대해서 울분을 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성역 없는 진상조사의 의미는 대통령을 흠집 내겠다는 게 아니라 청와대의 보고지휘체계를 점검하자는 것"이라며 "이 부분의 진상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또 이와 같은 참사가 재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