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23개 시군 “인구유출 막자”
인구정책 담당자 워크숍 개최
지방소멸 대응기금 투자계획
2024년 확보 방안·해법 모색
작은마을 활성화 사업 등 논의
“지방소멸 모범답안 찾아보자”
“더 이상의 인구 유출은 막아야 합니다. 서울과 수도권 청년이 경북에 와서 잘 살 수 있는 그런 곳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지방시대의 성공을 장담할 수 있습니다.”
정부 주무부처 및 경북도·23개 시군의 인구정책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자는데 한목소리를 냈다.
22일 영양군 장계향문화체험교육원에서 열린‘2023 경상북도 인구정책 워크숍’에는 행정안전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경북연구원(인구정책센터), 23개 시군 인구정책 담당자 등 70여명이 참석해 열띤 논의를 벌였다.
특히 이날 워크숍은 이철우 경북지사가 항상 강조하는 '도시 청년들이 몰려오는 경북 만들기'의 연장선상에서 정부 주무부처 및 경북도와 일선시군 인구정책 담당자들이 후속대책을 마련하는 자리여서 그 의미가 남달랐다.
이날 워크숍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제출을 4개월 앞둔 시점에 시군의 투자계획 수립상황을 공유, 발전방안을 논의해 20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주요 내용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류성수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지역활력단장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이해’라는 주제로 전략적인 투자계획서 작성방법을 소개했다.
또 조충래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제도과 사무관이 ‘인구감소대응 추진방안’을 주제로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설립 목적과 활용 방안을 강의했다.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작성 컨설팅을 책임지고 있는 조득환 경북연구원 인구정책센터장은 경북에 최적화된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수립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구체적인 컨설팅계획을 안내했다.
이외에도 경북도는 인구감소 공동 대응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경상북도 인구-산업 통합 플랫폼 구축 사업’과 ‘경북형 소규모마을 활성화 사업’을 소개했다.
LX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함께 추진 중인 ‘경상북도 인구-산업 통합 플랫폼 구축 사업’은 효과적인 지방소멸 대응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인구, 산업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시스템 구축 사업이다.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단순 정주인구 뿐만 아니라 유동인구, 직장인구, 관광인구 등 인구 데이터를 중층적으로 수집해 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지원하게 된다.
‘경북형 소규모마을 활성화 사업’은 2022년 지방소멸대응기금으로 시작한 사업 중 하나로 지방소멸을 체감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마을’을 기준으로 경북의 인구감소 문제에 대응할 경북형 표준 모델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소규모마을 활성사업 역시 마을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형화하는 작업을 포함하고 있어 향후 경북의 체계적인 인구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순고 경북도 인구정책과장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마중물 삼아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에 대한 모범답안을 찾아야 하고, 내가 사는 곳을 지킨다는 사명감을 갖고 인구감소문제 해결에 힘 써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