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오염수 방류 국제해양법재판소 제소를”
2023-08-23 강병찬 기자
경북 환경단체 즉각 철회 촉구
“정부, 농수산물 수입금지 확대
해양투기 강행땐 불매운동 전개”
포항 환경단체도 24일 집회 예정
일본 정부가 24일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투기를 실행에 옮기기로 한 가운데 경북 동해안 지역 환경단체들의 반발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포항, 경주 등 동해안 지역 환경단체들은 바다 환경 오염 우려는 물론 수산물 소비 급감 등이 우려됨에 따라 일본 정부의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를 규탄했다.
이들은 또 우리 정부가 국민의 혈세를 써가며 후쿠시마 핵 오염수 홍보대사 역할을 하는가 하면, 정치권도 민의를 담아내지 못했다면서 싸잡아 비판했다.
포항환경단체들은 24일 오전 11시 죽도시장 개풍약국 앞 인도에서 일본의 핵 오염수 방류에 대한 규탄 집회를 개최한다.
이들은 "그동안 대부분의 국민이 일본 정부의 입장을 반대하며 방류철회를 촉구해 왔는데도 민의를 대변하지 못하고 반대결의조차 할 수 없었던 위정자들은 이제 어떤 대책을 마련할 것인가"라고 되물으며 "동해안의 최대 어업 전진기지인 포항은 어떻게 수산물의 안전을 책임질 것이며 미래 세대에게 어떤 바다를 남겨줄 것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주의 환경단체들은 23일 경주시청에서 일본의 핵 오염수 해양투기 결정 철회와 함께 이에 동조한 우리 정부를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해양 생태계 오염 및 파괴를 걱정하는 지구촌 시민의 우려를 뒤로하고 오로지 세계 핵산업 카르텔의 이익만을 좇는 결정을 내렸다"면서 "최근 방사성 세슘이 기준치의 180배가 넘는 우럭이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발견돼 세상을 놀라게 했고, 일본 후생노동성의 2022년도 농수축산물 방사성물질 검사결과를 보면, 후쿠시마 인근 8개현 농산물의 세슘 검출률은 22%에 달했고, 수산물의 세슘 검출률은 다른 지역 평균보다 약 7배 높은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이 핵 오염수 해양투기를 감행한다면, 도요타, 소니, 유니클로 등 일본 상품이 또다시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사태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예고했다. 또 "현 정권이 국민의 혈세를 써가며 후쿠시마 핵 오염수 홍보 대사의 역할을 하는 것은 값비싼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정부는 일본을 국제해양법 재판소에 제소하고, 일본산 농수산물 수입 금지를 전면 확대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