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근 의원, 인사청문회 통해 정책적 부분 세심하게 검증할 것
방문규 산업부 장관 후보자 '원전 정책 정상화 필요'
2023-09-06 장원규 기자
방 후보자는 질의 자료를 통해 "장관에 취임하게 되면 그간의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시각과 전략을 통해 우리 산업의 글로벌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고, 에너지·자원의 불확실성을 적극 해소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대해서는 "에너지 공급망 불안과 기후위기 심화 등 에너지 정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는 대응이 어려운만큼, 에너지 안보와 탄소 중립을 위해 원전을 중심 에너지원으로 적극 활용하며 원전 정책을 정상화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RE100 보다는 원전, 수소 등 무탄소 전원을 활용한 CFE가 보다 현실적인 탄소중립 수단이며, 앞으로 CFE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글로벌 공감대를 형성해가겠다"고 밝혔다.
또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달성목표와 관련 방 후보자는 "재생에너지는 원전과 함께 탄소중립을 위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 확대해야 한다"며 "현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1.6% 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지속 가능한 보급을 위해 그간의 부작용은 해소하면서 중·대규모 보급 확대 등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보급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비수도권 산업단지에 대한 현장방문을 통해 현장에서 필요한 정책을 발굴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한 질의에 방 후보자는 "산업단지를 비롯한 기업, 근로자, 지방정부 등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현장의 애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또한 한전·발전자회사의 경영합리화 정책과 관련하여 자산매각과 사업조정 등을 통한 자구계획안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의에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고려할 때, 한전 및 발전자회사들의 경영진 및 직원들은 높은 책임의식이 필요하다"며 "한전 신임사장과 한전 직원들이 가장 효율적이고 능력이 있는 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을 다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구자근 의원은 "장관후보자의 인사검증을 비롯해 첨단산업진흥과 반도체 특화단지에 대한 후속조치, 비수도권 발전을 위한 기회특구 마련, 한전과 발전자회사에 대한 정상화 방안 등 정책적인 부분에도 세심하게 검증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