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중 9명 "의대 증원 찬성"... 의협 파업에 여론 '싸늘'
보건의료노조 설문조사 86% "의협 진료거부·집단휴업 안된다" 93% "필수진료과 의사 부족 개선해야" 87% "의대 증원, 국민과 정부가 결정" "의사 1000명 이상 늘려야" 절반 달해 의대 증원 지지 여론 한달 새 더 커져 증원 반대 의협, 오늘 총궐기 대회 개최
의사단체가 17일 정부의 의대 증원 추진에 반대하는 총궐기 집회를 여는 가운데, 대다수 국민이 의대 증원에 찬성하고 의사들의 단체 행동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등이 주축이 된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이날 국회 앞 이 단체 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3.4%는 '필수진료과 의사들이 부족한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9.3%는 '의대 정원 확대에 찬성한다'고 했다. 노조가 지난 달 4~6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의대 증원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82.7%였는데, 이와 비교해 한달여 사이 6.6%포인트(p) 증가했다.
의대 증원 규모에 대해서는 '1000명 이상'이라는 응답이 절반에 육박하는 47.4%였다. '2000명 이상 늘려야 한다'는 의견은 28.7%, '100~1000명'은 32.7%로 나타났다.
증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강원·제주(95.7%), 대구·경북(93.8%), 대전·세종·충청(91.6%), 부산·울산·경남(91.2%), 광주·전라(91.0%)에서 특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강원·제주에서는 증원 폭을 2000명 이상이라고 답한 사람도 32.4%에 달했다.
또 응답자의 85.6%는 "의협이 진료 거부 또는 집단휴업에 나서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1.9%는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의협의 입장을 지지하지 않는다"않는다는 생각을 밝혔다.
'의대 증원 결정권이 의협에 있다'고 생각하는 의견은 10.5%에 그쳤으며 87.3%는 '국민과 정부가 의대증원을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의협은 '의사 정원 확대'에 반발해 17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 일대에서 '대한민국 의료붕괴 저지를 위한 총궐기대회'를 연다.
이들은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 등에서 대회를 진행한 뒤, 대한문에서 서울역까지, 서울역에서 용산 대통령실까지 두 차례에 걸쳐 가두 행진을 할 계획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6~14일 이 노조 소속인 113개 의료기관 구성원을 대상으로 현장의 의사인력 부족 상황을 묻는 설문조사도 실시했는데, 응답자의 88.1%가 '의사 인력이 부족하다'고 했고, 95%는 '야간과 주말 당직의가 부족하다'고 했다. '의사인력 부족으로 환자를 돌려보내거나 타병원으로 전원한 적 있다'는 응답은 75.2%였고, '의사인력 부족으로 응급실을 닫거나 제한 운영한 적 있다'고 한 경우도 37.6%에 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부족한 의사의 업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의사 업무의 일부를 담당하는 PA인력(진료보조인력)에 대한 실태조사도 진행했다. 조사 결과 서울아산병원(387명), 충남대병원(284명), 이화의료원(249명), 경상국립대병원(235명), 아주대의료원(137명), 영남대의료원(125명), 전북대병원(114명), 원주연세의료원(111명), 백병원부산지역(부산백병원·해운대백병원, 109명), 예수병원(105명)의 PA인력이 100명 이상으로 파악됐다.
노조는 설문 결과를 발표하며 △의대 정원 확대와 양성 지원 △지역의사제 시행 △공공의대 설립 △필수·지역·공공의료 지원 강화 △개원요건 강화·병상 총량제 실시·비급여 진료 통제와 적정 수가체계 마련·실손보험 전면 개편 등 왜곡된 의료체계 개선 등 5가지 정책을 제안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서던포스트가 지난 12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천16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은 ±3.1%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