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복권 가능성에 민주당 술렁… 친문 "대환영" vs 친명 "떨떠름"
친문계 "민주당 다양성·역동성 회복 계기" 친명계 "왜 전당대회 중에?...야권 분열용" 법무부, 광복절 특별사면 복권 대상자에 조윤선·현기환·안종범·원세훈 등도 포함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진영의 적자로 평가받고 있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8·15 광복절 특별사면 복권 대상으로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자 더불어민주당내 시선이 계파별로 묘하게 엇갈리는 모양새다.
김 전 지사의 복권에 비명(비이재명)계는 일제히 환영하는 분위기인 반면 친명(친이재명)계에서는 김 전 지사의 복권이 '야권 분열'을 위한 노림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는 전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사면심사위원회를 열고 특별 사면·감형·복권 대상자를 심사, 김경수 전 지사를 비롯해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현기환 전 정무수석과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 등을 대상에 포함했다.
김 전 지사가 복권이 되면 피선거권을 되찾게 되고 2026년 지방선거, 2027년 대선 출마가 가능해져 정치적 재길의 길이 열릭 된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으로 불리는 김 전 지사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복심 중의 복심'으로 차기 대선 주자로 꼽혀왔다.
하지만 지난 19대 대선 과정에서 '드루킹' 김동원씨 등과 공모해 여론을 조작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져 징역 2년을 확정받으며 정치생명에 치명상을 입었다.
김 전 지사는 복역 중이던 지난 2022년 12월 사면돼 남은 형기를 면제받았으나 복권은 이뤄지지 않았다.
김 전 지사의 사면 소식에 벌써부터 비명계 구심점이 돼 대선 주자로 뛸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어 향후 대선 구도까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김두관 당대표 후보는 이날 오전 입장문을 내고 "김 전 지사야말로 정권의 정치탄압의 희생양"이라며 "김 전 지사의 복권이 민주당의 분열이 아니라 다양성과 역동성을 살리고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MBN 유튜브에 출연해서는 "김 전 지사가 경남지사에 다시 도전할지, 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지 알 수 없지만 정치활동을 하도록 복권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병헌 새로운미래 당 대표도 입장문을 통해 "이재명당의 정성호 의원의 복권 반대와 고민정 의원의 외로운 지지 반응을 보며 씁쓸했지만, 윤석열 정부가 모처럼 절대 다수 야당보다 절대 소수 야당의 의견을 받아준 것 같아 뿌듯하다"고 말했다.
앞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김 전 지사의 복권을 촉구한 바 있다. 김 지사는 김 전 지사 복권을 촉구한다"며 "'내 편 사면', '선택적 사면'은 이미 충분히 했다. 이번 8·15 특별사면은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당내에선 이재명 일극체제의 균열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서 "(김 전 지사의) 정치적 활동에 대해 보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필이면 민주당의 전당대회 과정에 복권을 하는 건 떨떠름하기는 하다.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친명계 좌장으로 통하는 정성호 의원도 6일 YTN 라디오에서 "김 전 지사도 억울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복권해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여당에선 야권 분열용 시기에 맞춰서 쓸 거라고 보는데 지금은 그 시기가 아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지난해 8월부터 영국 런던정경대에서 방문교수 자격으로 머무르다 현재 독일 에베르트재단 초청으로 베를린에서 머물고 있는 김 전 지사는 올해 연말쯤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