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자사고 내신 A등급 학생 비율, 일반고 2배 이상
과학고등학교나 외국어고등학교와 같은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율형사립고(자사고) 학생들의 과목별 내신 A등급(90점 이상) 비율이 일반고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고교 신입생부터는 내신 9등급제가 5등급제로 전환되면서 내신 경쟁 부담이 완화돼 특목·자사고 경쟁률이 상승할지 관심을 끈다.
1일 종로학원은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올해 1학년 1학기 전국 일반고 1693곳, 특목·자사고 90곳의 학업성취도(교과성적)를 분석한 결과 특목·자사고에서 A등급을 받은 학생의 비율은 국어 47.4%, 영어 44.3%, 수학 39.7%로 집계됐다. 전체 학생 중 절반에 가까운 학생이 주요 과목에서 내신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 등급을 받은 셈이다.
반면, 일반고에서 A등급을 받은 학생 비율은 국어 19.7%, 영어 20.6%, 수학 17.2%에 그쳤다. 특목·자사고의 A등급 학생 비중이 일반고보다 모두 2배 이상 높은 것이다.
국·수·영 외 사회와 과학, 한국사 등 다른 과목에서도 일반고는 사회 22.7%, 과학 21.5%, 한국사는 20%에 그쳤지만 특목·자사고는 사회 52.4%, 과학 49.9%, 한국사 43.1%로 모두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과학고의 경우 A등급 비율이 국어 77.3%, 영어 71.5%, 수학 65.2%로 일반고보다 모두 3배 이상 높았다.
입시업계는 학생부에 과목별 원점수도 기록하는 만큼 일반고보다 원점수가 높게 형성된 특목·자사고 선호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내년 고교 신입생부터 내신 상대평가 9등급제가 5등급제로 완화되는 만큼 특목·자사고에 대한 선호도를 낮출 수 있는 ‘내신 불리’가 상쇄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은 외고·국제고, 자사고에 우수한 학생들이 몰려 상대평가인 석차 1등급 따기가 쉽지 않았지만 내신 등급 구간이 넓어지면 학생 부담이 줄어든다. 여기에 상대적으로 질 높은 비교과 교육활동을 운영하는 학교와 교사의 노력, 면학 분위기 등을 고려하면 학생부종합전형에도 유리하다는 평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선택과목 폐지와 문·이과 공통 수능으로 외고·국제고도 수능 점수를 통해 의대 진학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전반적으로 특목·자사고 인기가 커지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의대 지역인재 전형의 대폭 확대로 지방권 의대 합격자 수가 많은 지방 소재 자사고 선호도도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2025학년도 특목·자사고 원서접수는 오는 4일부터 17일까지 시작된다. 앞선 2024학년도 입시에서 전국 28개 외고 지원자 수는 2023학년도 6534명에서 7264명으로 1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고도 2023학년도 2078명에서 2205명으로 6.1%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