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심·뇌혈관 전문의 절대 부족... 고령화도 심각
대구 농촌 심혈관 전문의 ‘0명’ 경북 군 단위 뇌혈관 전문의 인구 10만명당 0.8명에 불과 전국 33개 지역 중 최하위 기록 간암·대장암·위암 전문의도 대구경북 군단위 농촌지역 0명 경북 농촌심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이 57.2%
대구·경북 군 단위 농촌지역에 심혈관질환을 비롯해 뇌혈관질환·간암·대장암·위암 등의 전문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는 물론 환자들도 계속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여력이 안 되는 지역 병원들은 수도권과 더 격차가 벌어지고 경영난에 허덕이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지역보건의료진단 기초연구: 의료자원의 격차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17개 시도 행정구역을 도시·도농복합·농촌 등 시도별 유형에 따라 33개 지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서울을 '서울 도시' 1개 지역, 대구를 '대구 도시'·'대구 농촌(달성·군위군)'으로 2개, 강원도를 '강원 도시'·'강원 도농'·'강원 농촌' 등 3개로 나누는 식으로 지역을 분류했다.
이후 지역별 심뇌혈관질환 등의 전문의 수와 60세 이상 비중을 파악한 결과 대구경북은 심혈관·뇌혈관질환 전문의 수에서 수도권과 뚜렷한 격차를 보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구 농촌지역은 전국 33개 지역 중 유일하게 심혈관질환 전문의가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10만명 당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전국 평균 3.9명, 서울‧전남 6.1명 대비 대구 도시 4.6명, 경북 도시 3.2명, 경북 농촌1.4명으로 나타났다.
인구10만명 당 뇌혈관질환 전문의는 전국 평균 9.4명, 대구 도시 14.7명으로 상대적으로 많았지만 경북 농촌은 0.8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인구10만명 당 간암 전문의의 경우 전국 평균 0.4명. 대구 0.7명인데 반해 대구 농촌 0명, 경북 도농 0명, 경북 농촌 0명으로 열악했다.
인구10만명 당 대장암 위암 유방암 전문의의 경우도 대구 농촌과 경북 농촌은 모두 0명이었다.
전문의 부족뿐만 아니라 일부 진료과목 전문의의 고령화도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에 근무하는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명 중 1명꼴로 60세 이상이었으나, 강원 도시지역은 심혈관질환 전문의가 모두 60세 이상이었다.
경북 농촌의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0세 이상 비중이 57.2%로 강원 도시 다음으로 많았다.
이 같은 이유 등으로 지역 환자들이 수도권 병원으로 몰리게 되고 수도권과 지방간의 의료 격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2023년을 기준으로 분석했다"며 "지난해 의정갈등으로 인한 전공의 이탈 등으로 가용 시설이 있음에도 인력 부족으로 환자에게 적정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향후 최근 쟁점과 관련한 지표를 반영해 전국 또는 지역별 상황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