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 '화훼영모화첩' 복원 첫 공개... "진경산수만 잘 그린게 아니었네"
“수리·복원을 통해 새롭게 피어난 진경시대 화조화” 겸재 정선 '화훼영모화첩', 2019년 뱅크오브아메리카 ‘예술 작품 보존 프로젝트’ 후 최초 공개 수리·복원 과정에서 작품에 활용된 안료, 충해 진행 양상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열어 겸재 정선 작품의 예술적 가치와 문화적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인정 받은 뜻깊은 성과
겸재 정선의 '화훼영모화첩'이 뱅크오브아메리카 ‘예술 작품 보존 프로젝트’를 통해 수리·복원된 후, 대구간송미술관의 첫 기획전 '화조미감'에서 최초 공개됐다.
'화훼영모화첩은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이 만년에 그린 8폭의 작품이다.
꽃과 풀벌레, 동물과 곤충 등을 매우 섬세한 필치로 묘사했고, 화려한 색채와 감각적인 구도가 정선의 화훼영모화 중에서도 단연 압권으로 평가된다.
이에 더해, 수리·복원 과정에서 밝혀진 작품의 안료, 작품의 순서와 구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작품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 ‘예술 작품 보존 프로젝트’, 국내 최초 선정
화훼영모화첩은 작품의 예술적 가치와 역사적 중요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2019년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의 ‘예술 작품 보존 프로젝트(Art Conservation Project)’에 선정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예술 작품 보존 프로젝트는 2010년을 시작으로 루브르 박물관(Musée du Louvre)의 '사모트라케의 니케(The Winged Victory of Samothrace)'>, 보스턴 미술관(Museum of Fine Arts, Boston)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농부가 일하는 들녘(Enclosed Field with Ploughman)' 등 세계 유수의 박물관, 미술관이 소장한 주요 작품들의 수리·복원을 후원해 왔으며, 국내 작품이 선정된 것은 정선의 화훼영모화첩이 최초다.
◇ 수리·복원을 통해 작품에 대한 새로운 감상을 더하다.
프로젝트 선정 이후 간송미술관 유물관리팀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이상현 교수는 화훼영모화첩에 대한 면밀한 상태 조사와 과학적 분석을 통해 작품 상태에 맞는 가장 최적의 처리 계획을 수립했다.
간송미술관 보존처리실에서 약 2년간 진행된 프로젝트에서 안료에 대한 분석, 충해 진행 양상에 대한 분석, 결손 부분에 대한 보완 등 수리·복원이 진행됐고, 이를 통해 복원된 작품이 '화조미감' 전시에 최초로 출품됐다.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작품에 나타난 충해 진행 양상을 분석해 작품의 원래 순서 및 장황 원형을 밝혀낸 것이다.
수리 과정에서 장황 없이 각각 낱장으로 보관되던 그림이 사실은 좌우 화면이 대칭을 이루며 서로 호응하도록 배치돼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각 작품은 호랑나비와 매미, 두꺼비와 개구리, 고양이와 쥐, 암탉과 수탉 등 서로 관계성을 지닌 소재들이 짝을 이루고 있으며, 작품 속 사물들의 크기와 무게감, 위치 등의 대칭적인 구도를 통해 화훼영모화첩이 가진 조형적 세련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품에 사용한 안료와 기법에 대한 과학적 분석 자료들은 겸재 정선의 작품과 화풍을 이해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
화훼영모화첩은 가로 19cm, 세로 31cm 정도의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석록·석청·진사·금 등 고급 안료와 다양한 채색 기법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화려함과 섬세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선의 화풍과 만년기의 탁월한 기량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자료다.
◇ 전시·교육·보이는 수리복원실을 통한 수리·복원과정 공개
대구간송미술관에서는 화훼영모화첩의 수리·복원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준비하고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상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가 6월 13일 대구간송미술관에서 진행되는 ‘간송예술강좌: 세미나&토크’에서 ‘정선 필 화훼영모화첩의 수리·복원과 채색기법’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수리·복원 과정은 관람객에게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상시적으로 공개되는데, 수리·복원 과정을 소개한 영상은 전시실 내 QR코드를 통해, 작품에 사용된 안료에 대한 분석은 ‘보이는 수리복원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인건 대구간송미술관 관장은 “겸재 정선의 화훼영모화첩이 뱅크오브아메리카 예술 작품 보존 프로젝트에 선정된 것은 조선 회화사를 대표하는 그의 예술적 가치와 문화적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뜻깊은 성과”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