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파행 3시간 만에 尹 조사 재개··· "오늘 중 마치긴 어려워"
28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거부로 오후 한때 중단됐던 내란 특검팀 조사가 재개됐다. 특검팀은 “오늘 중으로 조사를 마치기는 어렵다”며 “추가로 소환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지영 특검보는 언론 브리핑을 통해 “오후 4시 45분쯤 조사가 재개됐으나 오늘 중으로 조사를 마치기는 물리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윤 전 대통령이 (심야 조사에)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밤 12시를 넘기진 않을 것 같다”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체포 방해 관련 부분에 대한 조사는 윤 전 대통령 측이 조사를 거부해서 결국 재개하지 못했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했다”며 “현재 김정국, 조재철 부장검사가 국무회의 의결 및 외환 혐의 관련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56분쯤 특검에 출석해 오전 10시 14분부터 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특수공무집행 방해) 의혹 조사를 받았으나 신문조서에는 서명하지 않고 오전 조사가 종료됐다.
이후 점심 식사 후 오후 1시 30분부터 재개될 예정이던 조사는 윤 전 대통령 측이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며 조사실 입실을 거부하면서 지연됐고, 오후 4시 45분이 돼서야 조사가 재개됐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체포 방해 의혹 조사를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이 주도하자 “현재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박창환 총경 역시 불법체포를 지휘한 사람으로 고발돼 있다”고 지적하며 검사가 신문을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지영 특검보는 오후 3시 15분 브리핑을 통해 “사전에 검토한 내용이고 박 총경은 1차 체포영장 집행 때는 현장에 없었을 뿐 아니라 지휘에도 관여한 사실이 없다”며 “조사 대상과 무관한 사실로 피고발됐다는 사정만으로 업무에서 배제할 수는 없다. 사실상 형사 사법 절차를 마비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전직 대통령이라고 해서 경찰 수사를 받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다”며 “경찰 제도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또 계속 조사에 응하지 않으면 출석 불응으로 간주하고 형사소송법상 조처를 검토하겠다고 경고했다.
특검팀이 조사자를 교체해달라는 윤 전 대통령 측 요청을 거부하며 양측은 3시간여 대치를 이어갔다. 이후 검찰이 신문을 담당하는 다른 혐의에 대한 조사로 넘어가면서 윤 전 대통령 측도 협조한 모양새다.
박 특검보는 해당 조사는 부장검사들이 직접 진행하고 있다며 “현재 질의응답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