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모해위증 수사 촉구"…특검, 'VIP 격노' 진술과 맞춰본다

박 대령 측"허위 진술로 항명 기소" 주장 특검, 초동조사 이첩 전후 정황 재확인 '기록 회수 지시 관여 의혹' 이시원 전 비서관도 출석 압수된 휴대전화 포렌식 착수

2025-07-31     김민지 기자
채상병 사망 사건 초동조사 당시 수사외압을 폭로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31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채상병 사망 사건 당시 초동조사를 지휘하며 수사 외압 의혹을 폭로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31일 순직해병 특검에 재출석했다. 

박 대령은 이날 오후 1시 25분쯤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두 번째 조사를 받았다.

그는 조사 전 “수사는 특검의 영역이고, 저희는 밖에서 도울 수 있는 것만 도우며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박 대령 측은 출석에 앞서 대리인을 통해 “기존 항명 사건 재판 과정에서 박 대령에게 불리한 허위 진술을 한 증인들이 일부 포착됐고, 객관적 증거도 일부 드러났다”며 “모해를 목적으로 한 위증 혐의에 대한 특검의 수사를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항명 혐의로 기소됐다가 올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고, 특검의 항소 취하로 형이 확정됐다.

이번 조사는 모해위증 의혹뿐 아니라 박 대령이 고소한 염보현 군검사 사건도 포함된다. 

염 소령은 박 대령의 구속영장 청구서를 작성한 인물로, 박 대령은 그를 허위공문서작성과 감금미수 혐의 등으로 고소한 상태다.

특검은 박 대령에게 채상병 초동수사 기록의 경찰 이첩·회수 전후 정황을 다시 확인하고 있다. 

특히 박 대령이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으로부터 전해들었다고 증언한 ‘VIP 격노설’의 사실 여부가 핵심이다. 

특검은 최근 수사에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수석비서관회의 참석자 7명 중 5명에게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를 인정하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격노설’을 부인해온 김 전 사령관도 영장실질심사에서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인정했다.

이날 특검은 대통령실이 사건 회수 과정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윤 전 대통령이 구체적으로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도 들여다봤다.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이 31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으로서 기록 회수 관여 의혹을 받는 이시원 전 비서관도 이날 오전 특검에 출석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 지시에 따라 회수한 것이냐’는 질문엔 “성실히 조사받겠다”고만 밝혔다.

이 전 비서관은 사건 기록이 경찰에 이첩된 2023년 8월 2일 국방부 주요 관계자들과 수차례 연락을 주고받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대통령실 소속 행정관은 특검 조사에서 “이 전 비서관이 이첩 기록 반환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이 전 비서관의 휴대전화를 압수수색해 확보했으며, 이날 포렌식 참관 절차도 일부 진행됐다. 

이 전 비서관은 얼굴 인식과 비밀번호 제공에 협조한 상태다.

이밖에 ‘격노설’을 처음 전달한 것으로 지목된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도 지난주 참고인으로 조사됐다. 

특검에 따르면 수석비서관회의 참석자 중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장관(당시 경호처장)을 제외한 5명이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인정했다. 

특검은 이 회의 전후로 이뤄진 ‘수사결과 재검토’와 ‘구명로비’ 의혹 등도 계속해서 수사할 방침이다.

박 대령은 조사 전 “수사는 특검의 영역이고, 저희는 밖에서 도울 수 있는 것만 도우며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날 출석은 단순 참고인 조사를 넘어, 진술의 신빙성을 뒷받침할 새로운 증거와 정황이 맞물리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