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된 구미꽃동산공원 전임시장에게도 불똥

구미 경실련 남유진·장세용 전임 시장들 아들·딸 뇌물수수에 이용, 범죄자 만든 ‘고양이 한태 생선 맡긴 격’ 충격 주장 김장호 시장은 시민들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밝혀야

2025-08-17     남보수 기자
▲ 공사 중단되어 하세월 상태 꽃동산 사업장 정문

 
 
▲ 민자방식 개발 사업으로 주목받은 구미 꽃동산 아파트 사업 족마도

구미경실련은 최근 구미시 전 공무원 A씨가 1억5천만원 뇌수수로 벌금 2억원과 추징금 1억5천만원 외 자식까지 범죄자로 만든 책임에는 현 구미시장 외 전임 시장 2명도 책임이 있다고 17일 주장했다.

문제가 된 A과장은 전임 시장 시절 공원녹지계장→공원녹지과장→산림과장 재직후 정년퇴직 직전 지난 7월 25일 대구지법에서 중형을 선고해 당시 꽃동산공원 사업주는 법정 구속됐다.

구미 경실련에 따르면, 구미 꽃동산 사업은 지난 2016년 공원을 조성해 구미시에 기부체납한 후 나머지 땅에 아파트를 분양하는 민자방식 개발 사업으로 총 사업비 8202억원을 투입해 아파트 3493세대(29층)를 짓는 사업이다. A씨는 관련 부서장 재직시 6800만원 뇌물 수수 혐의와 이후 2021년 12월부터 2023년 1월까지 꽃동산 공원 총 개발 사업비 8400억원 (아파트2643세대(40층)/69만7천㎡) 중 등산로 매트 납품업자로부터 28회에 걸쳐 8350여만원 뇌물 수수 혐의로 지난 2018년 검찰 수사가 개시됐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검찰 무혐의 처분 후 재차 이 사건이 수면 위로 떠 오른 것은 뇌물을 준 중앙공원 사업주가 구미시 의회의 이 사업 관련 동의안이 부결돼 사업이 무산되자, A 과장을 직접 고소해 중형 처벌을 받았다고 구미 경실련은 밝혔다.

그러나 구미시는 이처럼 당시 뇌물수수 의혹이 있는 문제의 부서장을 경질치 않고 2조원대 꽃동산 개발 사업 관련 담당 부서장으로 끝까지 중용한 것은 남유진, 장세용 전임 시장들의 책임이 크다면서 전임 시장들의 책임론도 거론했다.

구미경실련 관계자는 "구미성리학역사관을 운영하는 구미시, 부하 공무원이 뇌물을 받아 역대급 중형을 선고받아도 시장은 침묵하는 게 성리학도시 시장의 올바른 모습인가"라며 "시민들은 구시대적인 공무원 자정 결의대회 보다 재발방지대책을 원한다"고 구미시의 재발방지 특단의 대책을 주문했다.

구미꽃동산 사업은 민간사업자로 선정된 '태영'이 꽃동산공원 일대 3개 단지에 지하 3층~지상 최고 40층, 21개동 2643가구의 초대형 단지를 지어 분양하는 약 30개월 걸리는 공원 조성 사업이다. 공원 땅값 500여억원을 포함해 1200억원이 투입되며, 복합문화센터와 6개의 자연테마소공원, 산책로, 쉼터 등이 조성되고, 인근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680여대의 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과 도로 확장도 예정돼 있지만 현재 중단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