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불교건축 변화상 간직' 안동 광흥사 응진전, 보물된다

2025-09-03     황해득 기자

잇단 화마 속에서 살아남으며 조선시대 불교 건축 변화를 보여주는 안동 광흥사 응진전이 보물로 지정된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3일 경북 안동 광흥사 응진전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안동 광흥사는 통일신라시대 때 창건됐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조선 전기에 불경 간행이 활발히 이뤄진 안동 지역의 유서 깊은 사찰이다. 

현재 중심 법당으로 쓰고있는 응진전은 창건연대가 명확하지 않으나 1647년(인조 25년) 기와 공사를 했다는 기록이 망와(지붕 마루 끝에 세우는 암막새 기와)에 남아 있어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827년과 1946년 사찰의 큰 화재로 대웅전을 비롯한 전각 대부분이 불에 탔으나,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떨어져 있어 화를 면했고 이후 사실상 중심 불전 기능을 해왔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의 공포. 국가유산청 제공

건축적 특징을 살펴보면 정면 5칸, 측면 2칸,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건물 정면의 공포(기둥머리에 나무를 짜 맞춰 지붕 무게를 받치는 부재)는 기둥 사이에도 배치돼 화려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옆면과 뒷면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두고, 꽃문양이 그려진 화반으로 장식해 정면을 강조했다. 

국가유산청은 “응진전의 공포는 조선 전기 양식을 계승해 중기와 후기에 이르기까지 불전(佛殿·불당) 건축 양식의 변화를 시기적으로 잘 보여주는 형태”라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광흥사 응진전의 보물 지정 여부를 확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