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가장 큰 책무는 국민통합”
이 대통령·여야 대표 오찬 회동 張 “李, 정치보복 끊을 적임자” 국정협의체 소통창구 등 제안 李 “국민 모두의 대통령 될 것” 야당 의견 최대한 반영하겠다” '상생·협치' 적극 공감대 형성 민생경제협의체 구성도 합의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여야 대표들과의 오찬 회동에서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며 “야당 대표뿐 아니라 야당을 통해 들리는 국민의 목소리도 최대한 많이 듣겠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회동에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참석했다. 이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 간 단독 면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통령은 “야당은 하나의 정치 집단이지만 국민의 상당 부분을 대표하는 만큼, 그 의견을 반영해 정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가 “정치를 복원하는 데 대통령이 중심 역할을 해달라”고 말하자, 이 대통령은 “공감 가는 부분이 많다. 실제로 그렇게 하고 싶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여야가 과하게 부딪히면서 정치가 국민을 위한 일인지, 특정 이익을 위한 것인지 혼란을 주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장 대표가 언급한 “죽이는 정치 대신 상생의 정치”, “소통 창구 마련”이라는 제안에도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소통을 통해 오해를 줄이고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정치는 지지층의 목소리를 낼 수밖에 없지만, 야당도 주요한 국가 기관”이라며 “여야가 서로 용인할 수 있는 부분을 최대한 찾아 공통 공약은 과감하게 함께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최근 한미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우리가 내부적으로는 경쟁하더라도, 국가 전체의 이익 앞에서는 한목소리를 낼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장 대표는 회동에서 민주당이 추진 중인 ‘더 센 특검안’과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법안에 대해 이 대통령에게 재의요구권 행사, 즉 거부권 행사를 건의했다.
그는 “그렇지 않으면 이런 법안들이 대통령의 뜻과 같은 것 아니냐는 오해를 살 수 있다”고 말했다.‘더 센 특검안’은 내란·김건희·순직해병 특검의 수사 범위·기간·인력 확대와 관련 재판의 녹화 중계를 핵심으로 한다.
장 대표는 여야정 국정협의체로 해석되는 상설 소통 창구 마련도 제안했다.
그는 “상법·노란봉투법·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해 건설 경기와 내수가 위축되고 자영업자 폐업이 늘고 있다”며 “기업들이 숨 쉴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수요자 중심의 공급 대책이 되길 바란다”고 했고, 정부 조직 개편과 관련해서는 “특정 집단이 아닌 국민 전체를 위한 개편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이 대통령과의 단독회동에서 장 대표는 "오랫동안 되풀이돼온 정치보복 수사를 끊어낼 수 있는 적임자는 이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이날 회동을 마친 뒤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대통령과 장 대표 간 비공개 단독 회동 주요 내용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장 대표는 오후 1시 20분부터 30분간 진행된 이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특검 수사가 현재 진행되는데 더불어민주당에서 CCTV를 열람하는 인권 침해적 활동을 한 것은 대통령이나 정부가 수사에 개입하고 있다는 인식을 준다"고 지적했다고 박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장 대표가 무리한 야당탄압과 끝없는 내란 몰이에 대해 언급하자 이 대통령은 "정치가 만인 대 만인의 투쟁으로 번져선 안 된다. 정치의 사법화를 우려한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민주당의 일방식 국정 운영에 대한 장 대표의 문제 제기에 "여야 어느 한쪽 또는 특정 진영 이익을 위해 정치하지 않겠다"고 했다고 박 수석대변인은 말했다.
한편 이날 양당은 민생경제협의체 구성에 합의했다.더불어민주당 박수현·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재명 대통령의 여야 지도부 초청 오찬에서 여야 대표가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