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전쟁 배상금 2100조원 달라" 독일 "대신 안보 돕겠다"

2025-09-17     최서인 기자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왼쪽) 독일 대통령과 카롤 나브로츠키 폴란드 대통령. AP 연합뉴스

독일이 폴란드의 제2차 세계대전 배상 요구를 다시 한 번 거절하며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16일 베를린을 방문한 카롤 나브로츠키 폴란드 대통령을 맞이하면서 "배상 문제는 이미 법적으로 종결됐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다만 과거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일은 양국의 공통 과제”라고 덧붙였다.
 

독일은 1953년 폴란드가 청구권을 포기했다고 주장한다.

반면 폴란드 우파는 당시 소련의 압력 때문에 강제로 포기한 것이라며 무효를 내세우고 있다.

실제로 우파 정당 ‘법과정의당(PiS)’은 지난 2022년 피해 규모를 계산한 보고서를 공개하고 1조3000억 유로, 한화 2100조원이 넘는 배상을 요구했다.

한동안 잠잠하던 문제는 올해 나브로츠키 대통령 당선으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그는 “배상 요구는 근거 있는 과학적 연구에 기반한 것”이라며 “논의가 양국 모두의 이익”이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실 참모 보구츠키도 “얼마나 오랜 시간이 흘렀든 배상 요구는 포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독일 정부는 “배상 대신 현대적 의미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대안을 내놨다.

크누트 아브라함 연방정부 특임관은 “이제는 독일과 폴란드가 서로를 지켜야 한다”며 군사·재정적 지원이 해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독일은 러시아 드론 침투 이후 폴란드에 배치한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를 늘리고 순찰 임무도 연장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 역시 “전쟁과 점령의 참상을 넘어 화해를 증진하는 것은 독일의 역사적 책임”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폴란드 내부에서는 “독일과의 협력을 배상 문제와 연계하면서 오히려 외교적 여지를 좁혔다”는 비판도 나온다.

현지 방송 TVP는 “분노의 언어를 외교의 언어로 바꿔야 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