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북한이 싫어해도 비핵화는 한미 공동의 궁극적 목표"

"3단계 해법 강조… '중단-축소-폐기' 순으로 접근해야" "협상 복원이 우선… '도식적 로드맵보다 실질 논의 중요'" "강경화 주미대사 아그레망 승인… 트럼프 방한은 미확정" "독도는 우리 영토… 日 항의 과도하게 여론화 말아야"

2025-09-17     이승원 기자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로 열린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17일 "한반도 비핵화는 한국과 미국이 전통적으로 공유해온 궁극적인 목표이며, 북한이 이를 좋아하든 싫어하든 그 목표는 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간담회에 참석한 위 실장은 "비핵화라는 목표는 확고하며, 어떻게 접근할지가 관건"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는 것이 급선무이며, 이후 축소와 폐기로 이어지는 3단계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한 ‘동결-축소-비핵화’ 해법과 궤를 같이한다.

다만 그는 “처음부터 끝까지 짜인 로드맵은 현실에서 유용하지 않다”며 “지금 가장 중요한 건 협상 재개”라고 했다. "북한이 당장 대화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대화 채널을 복원하고 신뢰를 쌓는 노력이 필요하다"고도 덧붙였다.

비핵화 추진을 위해선 국내 정치적 합의와 국제 공조가 필수라고도 했다. 위 실장은 “정권마다 이념에 따라 북핵 접근이 달라지는 것이 문제”라며 “보수·진보를 떠나 비핵화에 대한 공동된 인식과 전략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사회와의 공조 역시 중요하며, 이 또한 하나의 정치과정”이라고도 했다.

그는 “비핵화는 단기간에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지만, 결코 포기할 수 없다”며 “통일보다도 접근 가능성이 높은 목표일 수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김정은 북한 총비서와 회동할 가능성에 대해선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은 기대하고 있으나 확정된 바 없고, 김 총비서가 APEC에 참석할 가능성은 낮다”는 설명이다.

한편,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의 주미대사 아그레망 절차와 관련해선 “이미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강 전 장관을 내정한 지 약 한 달 만이다.

한미 간 통상협상과 관련해선 “장기화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중요한 건 실현 가능성과 국익 수호”라고 말했다. “미국과의 협의는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에도 워싱턴에서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고율 관세가 부담인 건 사실이나, 감당 가능한 합리적 선에서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제기된 ‘미국 대선이나 관련 소송을 고려해 협상 서명을 늦추고 있다’는 분석엔 “시간 끌기는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관세 협상과 안보 협상이 연동될 수 있다는 우려에는 “두 협상은 독립적으로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다”며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고 본다. 다만 만일을 대비해 유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논란에 대해선 “양측이 넘지 말아야 할 선을 지키며 협의해왔고, 일정 수준의 안전장치는 확보돼 있다”고 했다.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방한설과 관련해선 “정부가 셔틀외교 복원을 공표한 바 있어 있을 수도 있으나, 발표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했다.

일본이 최근 독도 주변 해양조사에 항의한 데 대해선 “통상적인 조사 활동이고, 일본의 항의도 자주 있는 일”이라며 “이런 사안을 지나치게 여론화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독도는 분쟁 대상이 아닌 명백한 우리 영토”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