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 지방균형발전 정책 더 속도 내야
2025-09-21 대경일보
인구의 수도권 집중화는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하지만 청년층의 탈지방화는 지역소멸을 가속화시킨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통계청이 발표한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대구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인구는 19만1916명, 경북에서는 16만9214명이었다.
대구는 전체 인구 238만여명 중 8.1%에 해당하고, 경북은 전체 인구 251만여명 중 6.7% 규모다.대구경북에서는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단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매년 수도권으로 인구가 빠져나갔다.
대구는 2004년 1만2432명이 순유출된 이후 2013년 6099명까지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해 지난해 7818명이었다. 경북은 2004년 1만7839명에서 매년 감소해 지난해 4775명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청년층(19~34세) 인구 유출이 두드러진다. 같은 기간 대구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청년층은 14만7146명으로 전체의 76.6%였다. 경북은 16만9200명으로 무려 99.9%에 달했다.
경북은 이제 더 이상 유출될 청년층이 남아 있지도 않다는 것을 수치가 웅변해 준㎉다.
대구경북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 사유를 보면 '직업'과 '교육' 사유가 가장 많았다.
이는 청년들이 자기가 태어나고 자란 고향에서는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 기회도, 마땅한 일자리도 없다는 방증이어서 현재 지방 도시들이 처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정부도 현재 지방이 처한 현실을 인식하고 지역 전략산업 육성과 인재 양성 방안을 통해 '5극 3특' 지역균형발전 비전을 내세운 바 있다.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전략 산업을 지정해 육성하고, 여기에 공급할 인력을 지역에서 전략적으로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지방 교육 인프라와 일자리 질을 높이겠다는 구상은 늦었지만 눈에 띄는 정책으로 평가할 만하다.
하지만 정책이 좋다고 결과도 다 좋은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대통령과 정부 당국자의 실천의지가 중요하다. 대구경북을 비롯한 전국 지방도시들의 소멸은 이제 ‘발등에 불’이다. 균형발전을 위한 속도감 있는 정책 추진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