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왜 전쟁을?” 전지현 대사 논란… 中 “광고 중단, 불매하자”
“중국은 왜 전쟁을 선호할까” 대사 中 SNS 급속 확산 다롄 장면·중국어 악역 연출도 논란… 中 일부 브랜드 광고 삭제
배우 전지현이 드라마 북극성에서 한 중국 관련 대사로 인해 중국 내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일부 기업들은 그가 출연한 광고를 내리고, 중국 SNS에서는 불매운동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북극성에서 전지현은 유엔대사 출신 대통령 후보 ‘서문주’ 역을 맡아 열연 중이다.
논란이 된 장면은 4화에서 서문주가 “중국은 왜 전쟁을 선호할까요. 핵폭탄이 접경지대에 떨어질 수도 있는데”라고 말하는 대사다. 해당 발언은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단독 편집된 영상으로 확산되며 거센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홍콩 성도일보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은 “중국을 전쟁 국가로 묘사했다”는 중국 누리꾼들의 반응을 전하며, 전지현이 고대 시인 '이백'의 시를 읊는 장면에서 중국어 발음을 왜곡했다는 지적까지 제기됐다고 보도했다.
또, 극 중 다롄 배경 장면이 홍콩의 판자촌에서 촬영돼 도시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훼손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중국을 상징하는 별 다섯 개 문양의 카펫을 밟는 장면, 악역이 중국어를 사용하는 연출도 논란의 불씨가 됐다. 일부에서는 “전체 맥락을 보면 중국 비난이 아니다”는 옹호 의견도 있었지만, 중국 내 여론은 크게 반영하지 않는 분위기다.
파장은 광고계로까지 확산됐다. 전지현이 모델로 활동 중인 미국 화장품 브랜드 ‘라 메르’와 스위스 시계 브랜드 ‘피아제’는 중국 내 전자상거래 플랫폼 등에서 전지현 출연 광고 노출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루이비통 역시 관련 콘텐츠를 내렸다는 보도가 나왔다.
웨이보 등에서는 “한한령(限韓令)을 해제해선 안 된다”는 반응과 함께, 한국 콘텐츠 전반에 대한 감정적 반발도 일부 감지된다. 실제로 중국에선 디즈니+와 넷플릭스가 정식 서비스되지 않지만, VPN 등을 통한 시청이 가능해 한국 드라마나 예능이 실시간으로 회자되곤 한다.
한편, 북극성은 배우 강동원과 함께한 작품으로, 정서경 작가가 극본을 맡고 김희원·허명행 감독이 공동 연출했다. 유엔대사 출신 주인공이 대통령 후보 피격 사건의 배후를 추적하며 한반도를 위협하는 거대한 음모에 맞서는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