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장애인 고용 기피…5년간 217억원부담금 때워
농협중앙회와 주요 계열사(이하 범농협)가 장애인 의무고용을 기피하고 수십억원의 고용부담금으로 때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경북 고령·성주·칠곡)이 농협중앙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최근 5년간 (2020~2024년) 범농협 (농협중앙회· 농협경제지주·농협금융지주·농협은행·농협생명보험 ·농협손해보험) 이 장애인 의무고용 미이행으로 납부한 고용부담금은 217억 2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납부한 고용부담금은 2020년 30억원 , 2021년 37억원, 2022년 44억원, 2023년 49억원, 지난해 55억원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면 5년 사이에 2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확인됏다.
2020년 30 억 1,100 만원에서 2021 년 37 억 1,100 만원 , 2022 년 44 억 4,200 만원 , 2023 년 49 억 6,500 만원 , 2024 년 55 억 7,300 만원으로 매년 증가추세다.
반면 장애인 고용률은 2020년 2.1%에서 2021년 1.89%, 2022년 1.78%, 2023년 1.71%, 2024 년 1.6% 로 매년 하락해 법정 기준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최근 5년여간(2020~2025 년 9 월 기준) 계열사별 장애인 고용률을 살펴보면 농협중앙회 2.5%, 농협경제지주 1.63%, 농협금융지주 1.87%, 농협은행 1.75%, 농협생명보험 1.1%, 농협손해보험 1.36% 등 모든 기관이 법정 의무고용률(3.1%)을 크게 못 미쳤다..
정 의원은 "농협이 장애인 고용 의무를 등한시한 채 매년 수십억 원의 부담금으로 책임을 대신하는 것은 심각한 모럴해저드"라며 "장애인과 사회적 배려계층의 일자리 문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